![]()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왼쪽)과 이한준 LH 사장이 30일 오후 LH서울지역본부에서 열린 공공주택 긴급안전점검 회의에 앞서 시흥 은계지구 수돗물 이물질 발생 사태 등에 대해 사과하며 고개 숙이고 있다. 연합뉴스 |
검단 아파트처럼 무량판 구조를 적용한 한국토지주택공사(LH) 발주 아파트를 전수 조사한 결과 15개 단지 지하주차장에 있어야 할 철근이 빠져 있었다. 정부는 민간 발주 아파트 100여곳에 대한 안전점검도 진행할 예정이기에 철근 누락 아파트는 추가로 더 나올 수 있다.
3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토부는 전날 30일 LH 서울지역본부에서 원희룡 장관 주재로 ‘공공주택 긴급안전점검 회의’에서 LH는 지하주차장에 무량판 구조를 적용한 LH 발주 91개 아파트 단지를 전수 점검한 결과, 15개 단지(16.5%) 지하주차장에서 전단보강근(철근) 누락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무량판 구조는 보 없이 기둥이 직접 슬래브를 지지하기에 기둥이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철근을 튼튼하게 감아줘야 한다. 그런데 필요한 만큼의 철근을 쓰지 않은 것이다.
무량판 구조로 시공된 인천 검단 아파트의 전단보강근 누락은 붕괴 사고로 이어졌다.
철근 누락이 확인된 10개 단지는 설계 단계에서부터 문제가 있었다. 구조계산을 제대로 하지 못해 13mm 규격 철근을 써야 하는데 10mm짜리를 사용했다거나, 구조계산은 제대로 했으나 설계 도면에 전단보강근 표기를 빠뜨린 곳들이다. 건축계획을 수정하면서 구조계산을 아예 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5개 단지는 시공에 문제가 있었다. 작업자의 숙련도가 떨어지는데, 이를 잡아내지 못했다. 문제가 드러난 곳 중 이미 입주를 마친 곳은 5개 단지다.
LH는 입주한 4개 단지에서 정밀 안전점검을 추진 중이며, 보완 공사를 할 예정이다. 1개 단지에서는 현재 보완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입주 전인 단지는 10개다. 6개 단지는 보완 공사 중이며, 4개 단지는 입주 전까지 보완 공사를 마칠 예정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수도권 8개 단지, 지방에 7개 단지이며 형태별로는 분양이 5개 단지, 임대는 10개 단지다. 철근 누락 단지의 콘크리트 강도는 설계 기준 강도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