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민들이 서울 광화문사거리에서 더위 속에 우산과 양산을 쓴 채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 연합뉴스 |
한반도 기후변화로 폭염과 호우가 반복되는 여름 날씨가 나타나고 있어서다.
기상청은 여름철에 정체전선으로 비가 한동안 내리는 장마대신 비가 오는 기간을 뜻하는 우기로 대체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한동안 비가 내리는 장마라면 비로 태양광 발전이 멈추는 동안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계속 돌릴 수 있다. 하지만 몇 일 단위로 비가 내리다 그치면 태양광 발전량도 요동쳐 LNG 발전소를 이에 맞춰 가동과 대기를 반복해야 한다.
25일 전력거래소 ‘전력정보앱’에 따르면 이번 달 태양광 발전량이 제일 많던 날인 지난 6일과 가장 적은 날 14일을 비교해보면 출력량은 최대 7.4배까지 달랐다.
전력수요량이 높은 시간대인 오후 2∼3시 기준으로 지난 6일 태양광 한 시간 동안 출력량은 15884MW이고 14일은 2155MW였다.
지난 6일에는 전국 일부 지역에서 폭염특보가 발령될 정도로 더웠고 14일에는 전국에서 비가 내려서 나타난 결과다.
지난 6일과 14일의 태양광 출력량 차이 1만3729MW는 설비용량 1000MW급 원자력 발전소 13기 분량의 규모다.
8일 만에 태양광 발전량이 원전 13개 수준으로 차이나 그만큼 LNG 발전소를 돌려야 한다는 의미다.
이날 서울에서 폭염주의보가 발령되는 등 전국에 더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태양광 출력량은 9091MW로 나타났다.
최근 장마기간 중 비가 기간을 쪼개서 일어나고 있어 장마보다는 우기라는 용어가 한반도 강수현상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기상청이 지난해 발간한 2022 장마백서에 따르면 최근 20년 동안 6월 중순에서 9월 하순까지 비가 여러 차례 기간을 나눠서 집중됐고 특정 지역에 국지성 강우가 자주 나타났다. 중간에 강수량이 적게 나오는 시기도 있어 비교적 많은 비가 내리는 기간이라는 우기의 기상현상을 보였다.
그 결과 비가 내리지 않는 기간동안 높은 습도와 기온이 겹쳐 체감온도가 높은 폭염으로 이어졌다.
올해에도 최근 한 달 동안 평년보다 두 배 많은 강수량을 보였지만 중간에 폭염특보가 발령되는 등 폭염과 호우가 반복되는 날씨가 나타났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