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시기상조···2030년 리튬이온배터리 점유율 압도적"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7.24 10:43

SNE리서치 "전고체전지 양산 과제 많아 2030년 돼야 실증"

2023072401001328900065401

▲토요타가 공개한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 이미지.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꿈의 전지’라고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에 대한 상용화 기대감이 조성된 가운데 제품이 실제 현장에서 쓰이는 데는 생각보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적어도 2030년까지는 리튬이온배터리(LIB)의 시장점유율이 압도적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24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LIB의 글로벌 공급량은 올해 687기가와트시(GWh)에서 2030년 2943GWh로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체 시장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규모다. 반면 2030년 전고체전지 공급량은 131GWh, 시장점유율은 4%대로 예상된다.

전고체 전지는 폭발이나 발화 우려가 낮아 안전성이 우수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특징이 있다. 배터리 기업들은 현재 해당 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각국 정부도 전고체전지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세제·금융 지원 등을 계획하고 있다.

SNE리서치는 다만 전고체전지 양산을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는 점에 주목했다. 또 주요 소재가 고가의 금속으로 이뤄져 배터리 원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눈여겨봤다는 분석이다.

SNE리서치는 2030년이 돼야 전고체 배터리 전기차 실증이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ye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