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관영 전북도지사가 20일 전북 새만금의 이차전지 특화단지 최종 선정과 관련한 언론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
전북도는 20일 언론브리핑을 통해 전북 새만금 국가산업단지가 이차전지분야 특화단지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김관영 도지사는 이날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공모한 특화단지 평가에 도전경성의 자세로 전략적으로 대응한 결과, 전북이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선정되는 또 한번의 성공스토리를 썼다"고 소감을 나타냈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는 지난해 12월 정부가 첨단 기술의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를 국가첨단전략기술로 정하고 특화단지 지정 계획을 발표한 것으로, 이차전지 분야는 전북을 비롯해 포항, 충북, 울산, 상주 5개 지자체가 뛰어들었다.
전북은 지난 3월 SK온과 에코프로머티리얼즈, GEM 합작 투자를 시작으로 LG화학과 화유코발트, 엔켐 등 이차전지 선도기업들의 대규모 투자가 유치된 상태다. 현재 이차전지 기업만 23개 기업, 7조원의 투자유치 성과를 이뤄냈다. 조만간 1조 8000억원에 달하는 투자 계획도 예정돼 있어, 향후 총 9조원에 달하는 이차전지 기업 투자가 새만금에 이뤄질 전망이다.
전북도는 이번 결과에 대해 새만금의 강점을 부각하는 전략이 주효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전북 새만금은 10만평 이상의 단일부지 제공 및 확장 가능성에 풍부한 전력과 용수, 탄소중립 시대에 대비한 CF100·RE100 실현, 투자진흥지구 지정으로 법인세와 소득세 최대 100% 감면이 가능한 국내 유일 지역이다.
전북도는 전북이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지정됨에 따라 앞으로 기업 세액공제, 정부 R&D 예산 우선 반영, 예타 면제 특례, 인허가 타임아웃제, 판로 개척 등 정부 차원의 전방위적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으로 2028년까지 예상 누적매출액 54조원에 따른 생산 유발 효과는 65조2000억원, 고용 창출 효과는 20만1000명으로 추산되며, 전북의 전국 GRDP 비중은 2021년 2.7%에서 2028년 3.5%까지 상승해 지역경제 성장을 견인할 것이란 전망이다.
김관영 지사는 "새만금하면 ‘이차전지’가 연상되도록 새만금을 이차전지 핵심소재 공급기지로 조성하고, 글로벌 이차전지 R&D 혁신 허브로 육성하는 것이 비전"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북도는 4대 추진전략 14개 세부 실행 과제를 바탕으로 이차전지 산업 생태계를 조기에 육성할 계획"이라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김관영 지사에 따르면 4대 추진전략은 △이차전지 밸류체인 고도화 △초격차 기술 확보를 통한 R&D 혁신허브 구축 △글로벌·초광역적 연계 인재 양성 기반 마련 △기업지원 협업체계 구축 등이다.
이어 김관영 지사는 "앞으로 예산 확보와 행정적 절차 이행 등을 단계적으로 실행해 나갈 것"이라며 "특히, 전북도-전북테크노파크-새만금개발청-군산시와 협업 체계를 강화해 기업과 연구 기관 등을 지원함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새만금 이차전지 산업 생태계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