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7일 국회에서 열린 ‘산에너지 체계 활성화 위한 전기저장설비의 역할과 안전성 강화 방안 국회 토론회’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 이원희 기자 |
분산에너지는 보통 도시에서 멀리 떨어져 짓는 대규모 발전시설과 달리 거주지 혹은 산업단지 인근에 지어져 안전사고 발생 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분산에너지의 핵심 중 하나로 꼽히는 리튬 배터리형 에너지저장장치(ESS)는 화재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제기됐다.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노원구병) 주최, 한국태양광산업협회, 한국소형풍력에너지협회, 한국ESS산업진흥회 주관으로 국회에서 ‘분산에너지 체계 활성화 위한 전기저장설비의 역할과 안정성 강화 방안 국회 토론회’가 17일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는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화재보험협회, 한국전기연구원 관계자들도 토론자로 참석했다.
이들은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등을 위해 분산에너지 확대에는 공감했으나 안전관리 대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분산에너지란 전기 소비지 인근에 발전시설을 지어 송전망 추가 건설 없이 소비자에게 직접 전력을 공급하게 하는 에너지원을 말한다. 분산에너지로는 에너지저장장치(ESS),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소형모듈원전(SMR), 열병합발전설비 등이 있다.
토론회 주제발표자인 김형균 태양광산업협회 화재안전 TF팀장은 "국내에서 총 39건의 리튬계 배터리 ESS 화재가 발생했다"며 "태양광 사업자의 ESS 기피현상도 일어나고 있다. 전 세계 ESS 시장은 성장하고 있지만 국내 시장은 화재로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김 팀장은 "리튬계 배터리 화재는 배터리 내부를 완전 냉각하지 못하면 다시 불이 날 수 있다"며 "배터리 내부까지 침투해 냉각해야 화재진화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리튬계 배터리 화재 예방을 위해 ESS 전용 소화기 배치, 실시간 감시 등을 의무화하는 법제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박기주 태양광산업협회 이사(스마트파워 대표)는 ESS뿐 아니라 태양광 발전소 인버터에 대한 사고 위험 방지 기술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문우 화재보험협회 책임연구원은 "ESS 열폭주를 조기에 감지하고 퍼지는 걸 차단하는 방법을 연구 중"이라며 "열폭주를 막을 기술과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날 토론회에 참석, ESS 안전방안에 대해 "ESS 화재는 특정 ESS 제품에서 화재가 나는 게 아니라 관리가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며 "ESS 평가시스템으로 온라인 검사를 통해 사업자 부담을 완화해주려고 하고 있다. 여러 전문가들 의견을 받으면 안전대책 마련에 나서는 중"이라고고 밝혔다.
산업부는 분산에너지 지난 달 활성화 특별법 통과 이후 내년 5월까지 제도 마련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분산에너지 의무제도를 시행해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과 건축물에는 전력사용량의 일부를 분산에너지로 채우도록 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분산에너지 의무비율을 2025년까지는 2% △2026∼2029년 4∼6% △2030∼2033년 8∼10% △2034∼2039년 12∼16% △2040년 18%를 적용하는 걸 검토 중이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