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재계 ‘미래 모빌리티’ 선점···배터리·반도체·소재 ‘총력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7.16 10:59

전기차 필두로 車 산업 지각변동···기술 개발 ‘박차’



삼성·SK·현대차·LG 등 시장 선점 노력

2023071601000833100041381

▲전기차 자료사진. 기아의 전기차인 EV6 투시도.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글로벌 모빌리티 산업 규모가 빠르게 커지면서 재계 주요 기업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 개발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단순히 이동수단으로 쓰이던 자동차가 전동·지능화를 거치면서 관련 사업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유니버설 플래시 스토리지(UFS) 3.1 메모리 솔루션 양산을 시작했다. 이번 제품은 256기가바이트(GB) 라인업 기준 전 세대 제품 대비 소비전력이 약 33% 개선된 게 특징이다.

2.-삼성전자-초저전력-차량용-UFS-3.1-양산-796x563

▲삼성전자가 양산을 시작한 초저전력 차량용 UFS 3.1.


소비전력이 향상된 만큼 자동차 배터리 전력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삼성전자는 업계 최저 소비 전력을 지닌 이 제품이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량 등에 최적의 솔루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그룹과 LG그룹은 이차전지 분야 역량 확대에 사활을 걸고 있다. SK이노베이션 자회사 SK온, LG화학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 등은 생산 역량을 빠르게 확대해나가고 있다.

LG엔솔과 스텔란티스의 합작법인은 캐나다에서 배터리 생산 보조금을 받기로 최근 합의했다. 이 회사는 이밖에 현대차그룹, 제너럴모터스(GM) 등과도 공장을 함께 만들고 있다. SK온 역시 미국 포드와 합작사를 만드는 작업에 열중하고 있다. 최근에는 에코프로·GEM과 배터리 전구체 공장을 만드는 데 1조2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전기차에 ‘진심’이다. 전세계 주요 완성차 그룹사 중 비교적 빠르게 전동화 전환을 시도한 만큼 빠르게 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2023071601000833100041383

▲현대차 울산공장 아이오닉 5 생산라인


현대차는 지난달 열린 ‘CEO 인베스터’에서 2030년까지 전기차 200만대를 팔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올해 33만대, 2026년 94만대 등 점차 판매를 늘려간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목표가 달성되면 현대차의 전기차 판매 비중은 올해 8%에서 2026년 18%, 2030년에는 34%로 높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LG전자는 가전을 넘어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변화한다고 선언했다. 이를 추진하기 위한 중심 축으로 전장 사업을 꼽았다.

LG전자는 2030년까지 전장 사업 매출액을 2배 이상 늘어난 20조원까지 키운다는 구상이다. 차량 전동화, 커넥티드 서비스 등 트렌드에 대응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 솔루션, 콘텐츠 등 미래 모빌리티 영역의 신규 기회를 적극 모색하겠다고도 밝혔다. 전장 사업의 경쟁력을 방증하는 수주잔고는 올 연말 10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 충전 사업에 관심을 가지는 곳들도 많다. 현대차그룹, SK그룹, 롯데그룹 등이 해당 사업에서 금맥을 찾고 있다. 현대차는 초고속 충전 브랜드 ‘E-PIT’의 역량을 점차 확대해나가고 있다.

SK시그넷의 경우 지난달 미국 텍사스 플라노시 생산 공장 준공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SK시그넷은 SK㈜가 지난 2021년 약 2900억원을 투자해 인수한 글로벌 전기차 충전기 제조사다.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미국에서 초급속 충전기(350kW급 이상)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이다. SK㈜는 SK시그넷 인수를 통해 고품질의 충전기 제조 역량을 확보하고 △미국, 유럽시장 본격 공략 △선제적 R&D 투자 △제품 라인업 확대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2023071601000833100041384

▲SK시그넷이 ‘2023 CES’에서 공개한 신기능 탑재 초급속 충전기 V2.


롯데그룹은 롯데정보통신을 앞세워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EVSIS(옛 중앙제어)를 인수했다.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등 오프라인 매장과 시너지 등이 기대된다. 한화그룹은 한화솔루션 큐셀 부문에서 전기차 충전 브랜드 ‘한화모티브’를 선보였다. GS그룹 내 GS에너지는 작년 ‘차지비’를 사들였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11일 열린 ‘제2회 포스코그룹 이차전지소재사업 밸류데이’에서 2030년까지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매출 62조원을 올리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향후 3년간 포스코그룹 전체 투자비의 46%를 해당 부문에 투입해 2026년부터 이익을 내겠다는 구상이다.


ye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