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산업부, 전력기금 태양광 위법·비리 부정사용에 "엄중히 받아들여, 끝까지 환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7.03 13:02

‘전기요금의 3.7%’ 준조세 관리 난맥상…올해도 2조8천억 걷어



"전력기금 구조 재검토 계획…특정 분야에 편중되지 않도록"

2023070301000095500004301

▲국무조정실 정부합동 부패예방추진단장인 박구연 국무1차장이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태양광 발전 등 전력산업 기반 조성사업 2차 점검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문재인 정부 시절 전력산업기반기금(전력기금)의 태양광 발전사업 위법·부정 사례가 대규모로 드러나자 전력기금 관리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신속한 환수 등 후속 조치에 나서기로 했다.

산업부는 3일 국무조정실 정부합동 부패예방추진단의 전력기금 2차 점검 결과 발표 직후 "주무 부처로서 엄중히 받아들인다"며 "관련 규정과 제도 개선을 즉각 추진하고 사업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한편, 환수 등의 후속 조치도 신속히 실시하겠다"고 입장문을 밝혔다.

산업부는 "특히 다수 지적 사항이 확인된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강경성 2차관이 주재하는 ‘재생에너지 정책 혁신 테스크포스’ 통해 유사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혁신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환수가 특정된 건에 대해서는 끝까지 환수 조치할 예정"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날 정부합동 부패예방추진단은 전력기금 2차 점검 결과 총 5359건에서 5824억원의 위법·부적정 집행 사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9월 1차 발표에서도 2267건, 2616억원의 위법·부당집행 사실을 적발한 바 있다.

정부는 전 정부 시절 발전소 주변 지역 지원, 전력 산업 연구개발 등 다양한 목적에 활용되는 전력기금이 과도하게 신재생에너지 지원 사업에 보조금처럼 투입됐다는 문제 의식을 갖고 신재생에너지 지원 비율을 하향 조정하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

지난 2022년 신재생에너지 금융 지원 사업은 6590억원이었지만, 지난해 5월 추경을 통해 5722억원으로 868억원 감액됐다. 이어 2023년에는 4673억원으로 다시 1049억원이 줄었다.

산업부는 "전력기금 구조 전반도 철저히 재검토할 계획"이라며 "특정 분야에 편중되지 않도록 하고, 국정과제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편성·운영될 수 있게 향후 국회 심의·의결 과정에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적극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전력기금은 전기요금의 3.7%에 해당하는 돈을 걷어 조성하는 일종의 준조세로, 전력 산업의 지속적 발전과 기반 조성에 필요한 재원 확보 마련한다는 차원에서 지난 2001년에 도입됐다.

전기요금 인상으로 올해 전력기금의 수입은 2조8604억원으로 지난해의 2조2843원보다 5700억원가량 더 늘어날 전망이다.


wonhee454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