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청 북부청사 |
경기도는 산림의 경제적·공익적 가치 증진을 위해 올해 1333억원 예산을 들여 △건강한 숲 조성 △산림 순환경영 강화 △목재 이용 활성화 △산림복지 서비스 확대 등을 추진해 탄소중립과 함께 지속가능한 녹색경제 모델을 구축한다고 28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기준 경기도 산림면적은 51만1116ha로 전체의 절반을 차지한다. 도는 건강한 숲 조성을 위해 711ha 조림과 7611ha의 숲 가꾸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산림자원을 활용하는 동시에 탄소 흡수를 촉진해 지역 탄소배출을 감소시키고 생태계를 보호-회복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 산림 순환경영을 위해 임도 156.5km를 정비하는 등 산림자원 효율적인 관리와 이용을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도는 목재 펠릿 보일러 보급과 목재 이용 활성화를 위해 경기도 목재건축자문단을 운영하고 있다. 자문단은 목재 이용에 관한 전문가 자문을 제공해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목재 이용을 촉진한다.
경기도에는 현재 수목원,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유아숲체험원 등 221개 산림휴양시설이 조성돼 있으며 도민에게 다양한 산림 체험과 휴식을 제공하고 있다. 경기도는 수목원, 휴양림, 치유의숲 등 산림휴양시설 35개 보완사업과 375km 등산로 정비 사업을 통해 도민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풍요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국립산림과학원 발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산림 공익기능 평가액은 약 259조원으로 국민 1인당 연간 499만원의 산림 공익기능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산림이 우리 사회와 경제에 막대한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민순기 경기도 산림녹지과장은 "경기도 탄소중립 실현과 지속가능한 녹색경제 모델 구축을 위해 산림사업에 적극 투자하고 지역 산림자원을 보호하고 발전시킬 것"이라며 "이를 통해 도민에게 더 나은 삶의 환경을 제공하고 경제적-공익적 가치를 모두 충족하는 경기도 모습을 보여 드리겠다"고 말했다.
kkjoo0912@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