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추진 중인 친환경 산업 |
22일 포스코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에너지, 철강, 식량, 신사업을 포함한 전 사업영역에 걸쳐 다각도로 필환경 전환에 나선다. 우선 내달 1일부터 친환경본부를 설립하고 조직개편도 단행하는 등 전사적 에너지를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에너지 부문은 LNG사업의 수익성 기반 위에 재생에너지사업을 확대하고 LNG발전의 수소 연료전환, CCS(탄소 포집 및 저장)와 같은 미래 에너지 사업도 중점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현재 운영 중인 62.7MW의 육상풍력단지에 육·해상을 연계하는 해상풍력 사업에도 집중한다. 2027년까지 육상풍력단지가 있는 신안군 인근 해상에 300M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개발하고 동해 권역에서 추진중인 해상풍력 프로젝트 공동개발에도 참여해 2030년까지 풍력사업 발전량을 2.0GW까지 현재 대비 30배 이상 늘려 가기로 했다.
LNG발전소를 더욱 친환경적으로 운영하고자 연료를 수소로 전환하는 계획도 수립했다. LNG발전에 수소를 혼합하는 혼소 기술을 단계적으로 도입해 향후 100% 연료전환을 추진한다.
발전소 배출가스에서 탄소를 포집해 저장하는 CCS 기술도 적용한다. 현재 호주에서 CCS사업화를 위한 기술평가 및 경제성 분석 작업을 진행 중에 있으며 CCS사업화가 활발한 미국에서도 글로벌 에너지기업들과 고갈 가스전 및 지중 저장소를 활용한 공동 CCS프로젝트를 검토 중이다.
글로벌사업부문은 트레이딩 조직을 제품 중심에서 산업 중심으로 전환, 친환경 산업 수요에 대한 대응력을 높여 나간다는 방침이다. 태양광, 풍력, 친환경차, 하이퍼루프 등 친환경 산업의 철강 수요가 증가하는 것을 고려, 고부가가치 철강제품의 판매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포석이다.
이외 친환경 모빌리티 사업에선 2030년까지 연간 700만대의 글로벌 생산체제를 구축해 친환경차 부품 공급사로서 역할도 강화하며, 이차전지 원료 사업으로 전세계 네트워크를 활용해 양극재, 음극재 원료 공급을 추진하고 포스코홀딩스, 포스코퓨처엠과 연계해 관련 사업을 지속 확대키로 했다.
식량 사업에서도 친환경 기조를 이어진다. 인도네시아에서 운영 중인 팜 사업은 국제 친환경 팜유 인증인 RSPO(지속가능한 팜오일 협의체)를 취득했으며 2025년 완공 예정인 정제소를 기반으로 친환경 바이오연료 사업 진출 등 미래 산업을 준비해 가고 있다.
친환경소재 부문에서도 글로벌 바이오플라스틱 제조사인 토탈에너지스 콜비온과 협업해 2026년까지 바이오플라스틱 리사이클링 기술개발을 마쳐 친환경 소재 분야에서 입지를 다져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바이오벤처기업과 함게 바이오 의약품 원료 생산과 동물용 백신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등 바이오 산업 분야에서도 사업영역을 꾸준히 확장해 나가기로 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친환경과 탄소중립 달성은 모든 기업활동에 필수 키워드로 자리매김했다"며 "친환경 사업을 최우선적으로 확대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고 주주가치 제고에도 힘써 나갈 것"이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