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현대차 ‘현대 모터 웨이’ 공개···"2030년 전기차 200만대 판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20 15:20

‘CEO 인베스터 데이’ 중장기 비전 공유···10년간 36조원 투자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 도입···차세대 배터리 등 경쟁력 확보

2023062001001008100048791

▲2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2023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장재훈 현대차 사장이 발언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전동화와 미래기술에 대해 어떠한 글로벌 회사보다도 선제적으로 대응해 왔다. 앞으로 전동화 톱티어(Top-Tier) 리더십을 확보해 나가겠다." (장재훈 현대자동차 사장)

현대자동차가 전기차 판매 목표치를 상향 조정하며 ‘현대 모터 웨이’라는 새로운 중장기 전략을 추진한다.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를 도입하고 배터리 역량 고도화를 추진하는 등 노력을 기울여 2030년까지 전기차 200만대를 팔겠다는 구상이다. 2032년까지 10년간 집행하게 될 예산만 36조원 규모로 잡았다.

현대차는 2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투자자, 애널리스트, 신용평가사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2023 CEO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하고 새로운 중장기 사업 전략과 재무 계획을 발표했다.

그동안 회사가 밝혔던 전동화 계획의 속도를 더욱 높이겠다는 게 이번 발표의 요지다. 올해부터 2032년까지 향후 10년 간 총 109조4000억원을 투자하는 중장기 재무 계획 가운데 33%에 해당되는 35조8000억원을 전동화 관련 투자비로 책정했다.

글로벌 전기차 판매목표도 새롭게 제시했다. 올해 33만대 판매 계획에 이어 2026년 94만대, 2030년 200만대 규모 전기차를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하겠다는 게 골자다. 현대차는 글로벌 전기차 판매 규모를 3년 내 3배 수준, 7년 내 6배 이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CEO 인베스터 데이 발표와 비교하면 2026년과 2030년의 전기차 판매 목표가 각각 10만대, 13만대 상향됐다.

목표 달성 시 현대차·제네시스의 전기차 판매비중은 올해 8% 수준에서 2026년 18%, 2030년 34%로 차례로 상승할 전망이다. 특히 2030년 주요 지역(미국, 유럽, 한국) 내 전기차 판매비중은 전체의 절반을 상회하는 53%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는 이러한 전기차 판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전동화 전략을 ‘현대 모터 웨이’로 명명했다. 현대차는 신생 전기차 업체 대비 전통의 자동차 메이커로서 가지는 분명한 강점들을 미래 경쟁력으로 승화해 차별화된 전략으로 구사함으로써 전동화 시대에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길을 만들어 앞장서 걷겠다는 의지를 현대 모터 웨이라는 이름에 담았다고 설명했다.

장 사장은 "‘현대 모터 웨이’는 수많은 현대차 임직원들이 축적해 정립한 혁신 DNA가 구체화된 모습"이라며 "새롭고 지속가능한 수익 창출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 모터 웨이는 구체적으로 △IMA 도입 △전기차 생산 역량 강화 △ 배터리 역량 고도화 및 전 영역 밸류체인 구축 추진 등으로 이뤄졌다.

현대차는 2020년 말 전용 전기차 플랫폼 ‘E-GMP’를 선보이는 데 멈추지 않고, 2025년 IMA 개발 체계 완성 및 ‘2세대 전용 전기차 플랫폼’ 도입으로 다시 한 번 글로벌 완성차 시장을 선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기존 내연기관 공장에 전기차 라인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한국 외에도 미국, 체코, 인도 등에서 전기차를 생산 중이다. 향후 현지 수요 증가를 고려해 추가 현지 라인 전환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 이외의 글로벌 공장에서도 전기차 생산이 가능하도록 자연스러운 전환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이밖에 안정적인 소재 수급부터 배터리 설계 및 관리 역량강화, 차세대 배터리 개발 계획을 수립해 배터리 전 영역을 아우르는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ye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