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안효건

hg3to8@ekn.kr

안효건기자 기사모음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대역전 전황까진 어려우면 종전 어떻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19 20:32
UKRAINE RUSSIA CONFLICT

▲우크라이나군 군인 모습.EPA/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러시아에 대한 우크라이나 대반격이 당장 뚜렷한 전과를 올리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빼앗긴 영토를 전부 탈환하는 ‘완승’ 기대에도 회의적인 시각이 제기되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싱크탱크 전쟁연구소(ISW)는 18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우크라이나군이 향후 작전 전술 재평가를 위해 일시적으로 대반격을 중단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ISW는 일부 전문가 및 매체들의 분석이 최근 ISW 자체적으로 우크라이나 남부와 동부 대반격 상황을 관찰한 결과와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에스토니아 방위군 정보센터 수장인 마고 그로스버그 대령은 지난 16일 현지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 대반격 현황을 설명하면서 "앞으로 7일간 (우크라이나군의) 공세를 볼 수 없을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도 17일 초반 공세에 어려움을 겪은 우크라이나군 사령부가 전술 재평가에 나서면서 우크라이나군이 최근 며칠간 대부분 진격을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우크라이나는 예상보다 강한 러시아 방어에 고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반격 진전 속도가 기대보다 더디다는 평가가 이어지는 것이다.

ISW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는 최소 4곳 전선에서 대반격 작전을 지속하면서 제한된 영토를 탈환했다.

다만 ISW는 "작전 중단은 주요 공격 수행의 일반적인 특징이며, 중단이 우크라이나 대반격 종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ISW는 우크라이나군이 아직 대반격에 주요 병력을 투입하지 않는 등 본격적인 작전에 돌입하지 않았다고 분석한 바 있다.

미샤 그레니 오스트리아 인문과학연구소 소장 역시 이날 더타임스를 통해 우크라이나 대반격의 ‘불투명한 미래’를 전망했다.

그는 양국 교착이 지속되는 시나리오가 가장 유력하다면서 장기 소모전이 지속되면 서방에는 패배처럼 보일 수 있다고 봤다.

그러나 미국은 안도할 가능성이 크다며 조 바이든 대통령이 선호하는 선택지가 종전과 협상이라고 주장했다.

그레니 소장은 서방이 우크라이나 승리 선언까지 지원을 계속하겠다고 공언하지만, 우크라이나는 서방 지원에 한도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바이든 행정부 목표는 러시아를 무너뜨리는 게 아니라 우크라이나가 상대적으로 유리한 입장에서 러시아와 평화협상에 나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이달 CNN 방송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가 전쟁터에서 가능한 한 많이 전진해 협상 테이블에서 될 수 있는 한 가장 강력한 위치에 앉도록 지원하고 싶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내년 대선을 앞두고 재선을 위해 우크라이나 장기 지원에 싸늘해지는 여론을 의식할 수밖에 없다는 점도 변수로 지목된다.

이반 크레스테프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원은 "푸틴의 전략은 분명하다"며 "서방이 인내심을 잃을 것이며 모든 상황이 미국 대선과 함께 바뀔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우크라이나가 교착 상황에 몰리면 점령지 내 러시아 영향력을 최대한 약화하고 푸틴 정권을 흔드는 데 주력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그레니 소장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를 궁지에 몰아넣으려는 명백한 책략이 남부전선에서 보인다고 지적했다.

우크라이나군 대반격에서 남부 점령지 일부를 빼앗아 러시아 본토와 크림반도를 잇는 육로를 차단하려는 모습이 보인다는 것이다.

작년에 강행한 것처럼 나중에 케르치 해협을 가로질러 본토와 크림반도를 잇는 크림대교까지 파괴하면 고립 작전은 성공한다.

그레니 소장은 "크림반도는 러시아 민간인들의 감정을 가장 크게 자극하는 지역"이라며 "러시아 정부가 크림반도에 대한 장악력을 잃으면 심각한 신뢰 위기에 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hg3to8@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