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타스/연합뉴스 |
연합뉴스에 따르면, 타스 통신 등은 푸틴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러시아를 방문한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을 만나 핵무기 배치 계획을 거론했다고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은 "모든 것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며 "내달 7∼8일까지 (벨라루스에서) 관련 시설의 준비가 완료될 것"이라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시설 준비를 마치면 무기를 당신의 영토에 배치하는 것과 관련된 활동이 즉시 시작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러시아 핵무기 해외 배치는 27년 만이다. 러시아는 1991년 옛 소비에트연방 해체 이후 해외 핵무기 국내 이전을 1996년 완료했다.
이후로는 핵무기 배치를 위한 러시아·벨라루스 준비 활동이 진행됐다.
앞서 러시아는 지난 3월 벨라루스 전술 핵무기 배치에 양국이 합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4월 벨라루스 국방부 역시 러시아로 파견한 군부대가 현지에서 전술 핵무기 운용 훈련을 받고 복귀했다고 발표했다.
지난달 26일께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과 빅토르 흐레닌 벨라루스 국방장관은 핵무기 이전에 관한 문서에 정식 서명했다. 당시 푸틴 대통령도 관련 법령에 사인했다.
벨라루스는 내달 1일 전술 핵무기 저장고를 완공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벨라루스에는 이미 핵무기 운반체계인 이스칸데르 미사일과 폭격기가 배치돼 있기도 하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격화하는 상황에서 러시아 전술 핵무기 해외 배치가 임박함에 따라 국제사회 안보 위기감은 더욱 커지는 양상이다.
러시아가 벨라루스에 보내겠다는 전술 핵무기는 전략 핵무기와 달리 공식적인 군축 협정이 없다. 즉, 국제적 통제 체계 밖에 있어 우려를 더욱 키운다.
전술 핵무기는 대도시 파괴를 위한 최후 수단으로 간주 되는 전략 핵무기 보다 상대적으로 위력이 작다. 이에 중요 인프라를 파괴하거나 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