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직장인. |
통계청이 8일 발표한 ‘2021년 일자리 이동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0∼2021년에 서로 다른 직장에서 일한 임금근로자 219만8000명 가운데 36.4%의 임금이 감소했다.
이는 일용·특수형태 근로자를 제외한 상시 임금근로자만 집계한 것이다. 임금 정보는 사회보험·과세자료 등으로 파악된 월평균 세전 근로소득 기준이다.
임금이 줄어든 일자리로 이동한 비율은 60세 이상(44.6%)이 가장 높고 50대(40.7%), 40대(36.9%), 30대(32.5%), 20대 이하(30.7%) 순이었다.
이동 전후 임금 감소 폭은 25만원 미만(12.2%)이 가장 많고 이어 50만원 이상∼100만원 미만(7.2%), 25만원 이상 50만원 미만(6.8%),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5.3%), 200만원 이상(4.9%) 순이었다.
지난 2021년 전체 등록 취업자(4대 사회보험 등 행정자료로 파악되는 임금·비임금 근로자)는 2549만명으로 전년보다 65만8000명 늘었다.
![]() |
▲2021년 일자리 이동 통계. |
일자리 이동률은 30세 미만(20.9%), 30대(15.9%), 60세 이상(14.7%) 순으로 높았다.
청년(15∼29세) 취업자는 5명 중 1명꼴로 일자리를 옮긴 셈이다.
지난 2020년에는 등록 취업자였으나 재작년 제도권 밖 취업, 실직 등으로 미등록된 취업자는 336만8000명으로 전년보다 12만5000명 줄었다.
일자리를 옮긴 사람들을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금근로자는 93.1%가 직장을 옮긴 뒤에도 임금 근로를 지속했지만 자영업자자 등 비임금근로자는 85.0%가 임금 근로로 전환했다. 사업을 접고 월급쟁이가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2020년 중소기업 근로자 1552만6000명 가운데 재작년에도 같은 직장에서 일한 사람은 1025만명(66.0%), 다른 중소기업으로 옮긴 사람은 234만8000명(15.1%)이었다.
대기업으로 옮긴 사람은 40만9000명(2.6%), 비영리 기업으로 옮긴 사람은 18만6000명(1.2%), 미등록 상태가 된 사람은 233만2000명(15.0%)이었다.
axkj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