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소진

sojin@ekn.kr

윤소진기자 기사모음




"메타버스와 생성형AI의 만남"…KT지니버스 확 바뀐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5.31 09:00

초거대AI '믿음' 기반 서비스 확대
"고객 경험 혁신 플랫폼으로 도약"

KakaoTalk_20230530_135812456

▲왼쪽부터 이주철 KT 융합기술원 AI메타서비스 개발팀장, 김주호 카이스트 전산학부 부교수, 원종서 KT 융합기술원 AI메타버스 CX기획팀장이 30일 서울 종로구 S타워에서 열린 KT 메타버스 DX 스터디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윤소진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KT 메타버스 플랫폼 ‘지니버스’가 서비스를 전면 개편한다. 메타버스에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 서비스를 고도화해 고객경험 혁신 플랫폼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다.

◇ 공간·대화·움직임까지 AI로 구현

31일 업계에 따르면 KT는 오는 7월 지니버스의 대대적인 업데이트에 들어간다. 특히 자사 초거대 AI 언어모델 ‘믿음’을 기반으로 공간, 대화, 목소리, 움직임, 이미지 등을 복합적으로 학습해 처리하는 AI 기능을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지니버스는 KT가 지난 3월 시범서비스를 오픈한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전날 KT는 서울 종로구 S타워에서 메타버스 디지털전환(DX) 스터디를 열고 지니버스 업데이트 방향을 공개했다. 지니버스의 차별점은 크게 △AI밈(Message, Image, Motion) △AI NPC(Non-Player Character) △AI트윈 등 3가지다.

먼저 ‘AI 밈’은 이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기반으로 AI가 감정 등의 맥락을 분석해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배경 이미지 등이 자동 생성해주는 기능이다. 지니버스 내 ENA 오리지널 드라마 ‘보라! 데보라’ 전용관에 있는 보라 쇼츠가 생성형 AI 기술을 토대로 만들어진 콘텐츠다. 모션 AI가 적용돼 아바타가 드라마 장면을 그대로 따라 하고, 드라마 영상과 아바타를 자연스럽게 합성해 짧은 영상을 제작해 준다.

이와 함께 ‘믿음’으로 탄생한 지니버스 내 ‘AI NPC’ 기능도 강화된다. 텍스트와 음성변환(TTS), 감정, 모션 등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어 이용자 맞춤형 안내, 일상 대화, 상담까지 가능해진다. KT는 이 기능을 활용한 AI콘택트센터(CC)와 육아상담 서비스 등도 준비 중이다.

◇ ‘AI+디지털트윈’으로 생태계 확장

지니버스의 가장 큰 차별점으로 꼽을 수 있는 ‘AI트윈’도 강화한다. AI 모델링 기술로 디지털트윈을 구현하는 ‘AI 홈트윈’ 기능을 통해 이용자는 실제 거주하는 아파트 주소를 입력해 지니버스에 현실 공간의 도면을 바탕으로 한 ‘지니홈’을 생성하고 꾸밀 수 있다.

KT는 추후 주거공간 외에 강의실, 홍보관 등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지니버스에 생성된 가상 상점과 실제 상점을 연계한 후 AI NPC를 통해 문의하거나 예약도 할 수 있는 ‘상업화 지구’ 구축도 준비 중이다. 드라마의 간접광고(PPL)관을 지니버스에 선보여 홍보와 판매 기회를 창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밖에 KT가 ESG 경영 일환으로 추진 중인 디지털 취약계층 교육도 지니버스를 활용해 진행될 예정이다.

원종서 KT 융합기술원 AI 메타버스 CX기획팀장은 "지니버스는 기술주도형 서비스와 시장수요 견인 서비스 양쪽을 상호 보완하는 방향으로 개발 중이며, 궁극적으로는 고객 경험 혁신 플랫폼으로 도약하는 것이 목표"라며 "소상공인, 업종별 파트너사들과 상호 협력으로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KakaoTalk_20230530_141453706-vert

▲지니버스 ‘보라! 데보라’ 전용관. 드라마 주인공 아바타와 사진촬영, 명장면 쇼츠 제작 등의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아래는 드라마 배경인 ‘진리출판사’ 세트장을 디지털트윈으로 구현한 모습.


sojin@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