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의 한 시중은행.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시중은행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고 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3년간 급증한 대출과 지난해 하반기까지 이어진 금리 상승 여파가 시차를 두고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최근에는 기업대출에 이어 가계대출 연체율까지 크게 오르며 각 은행에서 3∼5년 내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4월 말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평균 0.304%로 나타났다. 전월(0.272%) 대비 0.032%포인트(p) 올랐다. 1년 전(0.186%)과 비교하면 0.118%포인트 상승했다.
대출 주체별로 보면 가계(0.270%)와 기업(0.328%) 연체율은 한 달 새 0.032%포인트, 0.034%포인트 각각 올랐다. 1년 전에 비해서는 0.116%포인트, 0.118%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4월 5대 은행의 신규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NPL) 비율도 일제히 높아졌다. 신규 연체율은 해당 월 신규 연체 발생액을 전월 말 대출 잔액으로 나눈 수치다.
신규 연체율은 평균 0.082%로, 전월 대비 0.008%포인트 올랐다. 1년 전에 비해서는 0.04%포인트 높아졌다.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250%로 전월 대비 0.008%포인트, 1년 전 대비 0.016%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은행별 내부 집계에 따르면 현재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 비율 등은 3∼5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은행권은 특히 소상공인 등 중소기업에 이어 최근 가계대출 연체율 오름세가 갈수록 뚜렷해지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가계대출은 자산가치 하락, 금리 상승, 경기 침체 등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아 연체율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연체율이 하반기에 더 치솟을 것이라는 우려의 소리도 나온다. 국내 대출의 경우 변동금리 비중이 큰데 지난해 하반기 급등한 금리에 따른 직접적인 상환 부담이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란 전망이다.
한편 은행보다 상대적으로 부실 대출에 더 취약한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연체율 상황은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약 6∼7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저축은행업계의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5.1%로, 지난해 말(4.04%)보다 1.1%포인트 상승했다. 저축은행업계의 올해 1분기 연체율은 5.1%로 잠정 집계됐다. 연체율이 5%를 웃도는 것은 2016년 말(5.83%) 이후 약 6년여 만이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