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하늘

yhn7704@ekn.kr

윤하늘기자 기사모음




다올證, 슈퍼개미 깜짝 등장…2대 주주 등극 배경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5.10 15:58

김모씨 하한가 후 집중 추가매수

11.5% 확보 일반투자목적 공시

오너 다음으로 2대주주에 올라



배당금 확대 등 일부 관여 가능

지분 추가·보유목적 변경에 촉각

업계 "경영권 위협 가능성 적어"

ㄹㄹㄹ

▲다올투자증권 본사. 에너지경제신문DB


[에너지경제신문=윤하늘 기자] SG(소시에테제네랄)증권을 통해 대규모 매물이 쏟아져 나온 다올투자증권의 2대 주주로 ‘슈퍼개미’가 등장했다. 2대 주주인 김기수씨 측이 주식 보유목적을 ‘일반투자’라고 공시했지만, 시장에서는 경영권 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다올투자증권은 이날 105원(2.42%) 내린 4225원으로 마감했다. 7거래일 만에 약세다. 다올투자증권은 SG증권발 무더기 하한가 사태를 겪은 뒤 지난달 28일부터 전 거래일까지 6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이 기간 상승률만 37.68%다.


◇ 슈퍼개미 11.5% 매입… 추가 지분매입 관심


반등이 시작된 시점부터 매수를 시작해 2대 주주에 오른 ‘슈퍼개미’도 나타났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사업가 김씨는 전날 친인척 최순자씨, 부동산임대업을 하는 법인 순수에셋, 투자일임업 법인 프레스토투자자문 등 특별관계자와 함께 다올투자증권 주식 697만949주를 보유하고 있다고 공시했다.

총 지분의 합은 11.5%다. 개인 지분 비중으로 보면 김씨가 보유한 주식이 406만6419주(지분 6.71%), 최씨가 287만1770주(지분 4.74%)를 갖고 있다. 순수에셋이 주식 3만2760주(지분 0.05%)를 보유했다. 특별관계자로 포함된 프레스토투자자문의 지분은 없지만, 김씨가 대표로 있는 곳이다.

이들은 지난달 28일부터 4거래일 간 다올투자증권 주식을 장내 매수했다. 다올투자증권의 주가는 김씨가 지분을 매수하기 시작한 지난달 28일만 10.43% 치솟기도 했다. 앞서 김씨와 최씨는 이미 다올투자증권 주식을 각각 158만주, 137만주씩 보유하고 있었다. 추가 매수량은 402만949주로, 약 140억원이 투입됐다.

이번 투자금은 공시 내용상 모두 김씨 측의 개인 자금으로 차입금도 없다. 이들은 다올투자증권 주식을 8일까지 3140원~ 3940원선에서 추가 매수해 현재 기준 30억원이 넘는 평가익을 얻은 것으로 추산된다.

이로써 김씨 등 특별관계자들은 최대주주인 이병철 다올금융그룹 회장(지분율 24.82%) 다음으로 다올투자증권의 지분을 많이 보유해 2대주주에 올랐다. 이전까지 KB자산운용이 4.46%로 많았다.


◇ "일반투자 목적" 밝혔지만… 임원선임 등 나설 수도


일각에서는 김씨 등이 지분 매수로 경영권을 노린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나왔다. 일단 김씨는 주식 보유목적을 ‘일반투자’로 "본인은 발행회사의 주주로서의 권리를 행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순수에셋 관계자도 "일반투자 목적이었다"며 "경영권에 대한 논의는 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일반투자는 경영권에 영향을 줄 의사는 없지만 임원보수 지적과 배당금 확대 제안 등이 가능해 ‘단순투자’보다 강한 공시의무가 있다. 다만, 추후 보유목적을 경영참여로 변경할 시 임원 선임 등에도 나설 수 있다. 변경 공시 이후 5거래일 거래 금리를 감수하면 주식보유 목적을 ‘경영권 참여’로 중도 변경 할 수 있어 당분간은 경영권 전망이다.


◇ 업계 "경영권 안정적일 것"… 주가도 소폭 하락


업계에서는 2대 주주의 등장에도 다올투자증권의 경영권이 흔들리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김씨 등이 지분을 추가 인수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지분을 모을 순 있지만, 단순 투자일 가능성이 높다"며 "이 회장의 개인의 주식 보유량도 받쳐주고 있는 만큼 경영권 분쟁 이슈는 커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이날 다올투자증권 주가도 잔잔한 흐름을 보인 것"이라고 말했다.

다올투자증권 관계자는 "지분 5%를 초과해 보고의무가 발생한 것"이라면서 "금융기관은 당국의 규제를 받는 특수성이 있는 만큼 경영권 위협으로 볼 단계는 아니다"고 말했다.


yhn770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