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5대 은행, 코로나19 잠재 부실 대출 37조…비상 체계 가동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5.07 09:38
5대은행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5대 은행이 약 3년 동안 코로나19 금융 지원 차원에서 원금과 이자를 미뤄준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이 37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당한 규모의 대출 부실이 숨겨진 상태에서 최근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가 나빠지자 은행들은 잠재적 금융위기 가능성에 대비해 비상 체계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코로나19 금융 지원 규모를 보면 지난 4일까지 여러 형태로 원금이나 이자 납기가 연장된 대출 잔액은 36조6206억원, 건수로는 25만9594건(만기연장·원금상환 유예·이자유예 중복)에 이른다.

은행권은 2020년 초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되자 정부 방침에 따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대출 원금 만기를 연장하고 이자 상환도 유예했다.

지원은 당초 2020년 9월로 시한을 정했으나 코로나19 여파가 길어지자 지원 종료 시점이 5차례 연장됐다.

만기가 연장된 대출(재약정 포함) 잔액은 34조8135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출 원금을 나눠 갚고 있던 기업의 분할 납부액인 1조5309억원도 받지 않고 미뤄줬고(원금상환 유예), 같은 기간 2762억원의 이자도 유예됐다.

코로나19와 관련 5대 은행은 현재 약 37조원의 잠재 부실 대출을 떠안고 있는 셈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9월 코로나19 피해 자영업자·소상공인의 대출 만기를 금융권과의 자율 협약에 따라 최장 3년간 연장할 수 있도록 했다. 상환 유예는 최장 1년간 미뤄줬다.

재연장 결정이 없다면 오는 9월부터 상환 유예 대상 대출자들부터 금융지원이 사실상 종료된다. 은행권도 하반기 연체율 등이 갑자기 튀어 오르는 등 대규모 대출 부실이 현실로 나타날 가능성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말부터 ‘금융시장·실물경제 복합위기 비상 대응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다. 이 협의체는 리스크(위험) 유형별 사전 점검을 통해 취약 섹터(부문)와 취약 예상 섹터를 선정한다. 또 이 부문에 대한 세부 분석과 모니터링 강화와 함께 맞춤형 입구·사후 관리 제도를 마련한다.

또 최근 부실 가능 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해 채무상환 능력을 키우는 ‘KB 기업향상 프로그램’ 대상도 확대했다. 이에 따라 최근 3년 연속 영업이익·당기순이익이 적자인 기업도 프로그램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하나은행도 지난 2월 연체율 등 자산 건전성 관리를 위해 ‘리스크 관리 태스크포스팀(TFT)’ 조직을 신설하고 선제적 위험 관리와 취약 차주 연착륙 프로그램 지원 등에 나서고 있다.

특히 시중은행들은 현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부실 조기 감지를 위해 인공지능(AI) 등까지 총동원해 위험 징후를 찾고 있다.


ds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