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감독원.(사진=에너지경제신문) |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기준 국내은행 부실채권 비율은 0.40%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분기 말(0.38%) 대비 0.02%포인트(p) 오른 수치다. 부실채권 규모는 10조1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4000억원(4.5%) 증가했다.
은행 부실채권 비율은 지난 2020년 1분기 말(0.78%) 이후 코로나19 금융지원 조치 등으로 하락세를 이어오다 결국 2년 9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이중 기업여신은 8조3000억원으로 전체 부실채권의 82.3%를 차지했다. 가계여신(1조7000억원), 신용카드채권(1000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기업여신 부실채권 비율은 0.52%로 전분기 말(0.50%) 대비 0.02%p 상승했다. 중소기업여신, 중소법인, 개인사업자여신 부실채권 비율 모두 전분기보다 올랐으며, 대기업여신만 낮아졌다. 같은 기간 가계여신 부실채권 비율은 0.01%p 상승한 0.18%였다. 주택담보대출이 0.01%p 상승한 0.12%, 기타 신용대출은 0.03%p 오른 0.34%로 집계됐다. 신용카드채권 부실채권 비율은 0.91%로 0.08%p 상승했다.
작년 4분기 중 새로 발생한 부실채권은 3조원으로 전분기 대비 5000억원 증가했다. 이 중 기업여신 신규부실은 2조2000억원, 가계여신이 7000억원으로 각각 4000억원, 1000억원씩 늘어났다. 동 시기 은행들이 정리한 부실채권 규모는 2조6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4000억원 감소했다.
금감원은 은행권 부실채권 비율을 아직 양호한 수준으로 평가했다. 작년 말 기준 은행권 대손충당금 적립률도 전분기보다 3.3%p 오른 227.2%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잔액 기준으로는 23조원 규모에 달한다.
금감원은 "다만 그간 지속 감소해온 부실채권 잔액이 증가세로 전환됐고 작년 하반기 중 연체율도 상승세를 보임에 따라 향후 기업·가계 취약 부문의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su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