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환경부 |
환경부는 2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환경부 물관리정책실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현재 큰 하천 위주로 설정된 홍수예보지점(75개)을 지류·지천까지 223개로 늘리고 홍수예보 시점도 ‘3시간 전’에서 ‘6시간 전’으로 앞당길 방침이다.
특히 홍수예보에 AI를 활용할 계획으로 올해 홍수기(6월 21일부터 9월 20일까지)부터 서울 도림천을 대상으로 AI 홍수예보 체계를 시범 운영한다.
도림천은 작년 8월 집중호우 때 범람해 큰 피해가 발생한 하천으로 도림천 범람을 막는 지하방수로 공사를 오는 11월 시작한다.
작년 8월 집중호우 때 물에 잠겼던 서울 강남역과 광화문에 설치하는 대심도 빗물터널(저류시설)은 오는 8월 설계에 착수한다.
작년 9월 태풍 힌남노가 상륙했을 때 범람한 경북 포항시 냉천에는 홍수조절용 소규모 댐(항사댐)을 건설하기로 하고 관련 타당성 조사를 오는 6월 실시한다.
또 작년 2월부터 가뭄을 겪고 있는 광주와 전남에 대해 오는 3월까지 기후위기로 인한 극한가뭄 대응 방안 등을 담은 중장기 가뭄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고질적 식수난에 시달리는 경남 통영시 욕지도와 인천 옹진군 덕적도엔 지하수저류댐을 설치하고 지하수저류댐을 전국에 확대하기 위한 이행계획도 수립한다.
아울러 30년간 지속되어 온 낙동강 물 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 간 합의와 상생을 기반으로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은 경남 합천군 황강 복류수와 창녕군 강변여과수를 개발해 경남과 부산에 공급하는 것이 골자로 작년 6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현재 타당성조사와 기본설계가 진행 중이다.
대구시가 추진하는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안을 검토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모두 동의하는 합의안을 마련해 사업을 추진한다.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은 낙동강 상류의 안동댐과 임하댐 물을 영천댐이나 운문댐을 거쳐 대구에 공급하는 내용으로 경북 구미시 해평취수장 물을 대구에 공급하는 기존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상 방안과 달라 지역 내 갈등 요인이다.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을 위해 인접한 지자체끼리 상수도를 통합하는 방안을 올해 관련 지침서를 내놓는 등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수자원 확보를 위해 정화한 하수를 용수로 재이용하는 방안과 연간 1억2000만t씩 버려지는 유출지하수를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어 그간 녹조발생 자료를 분석해 집중관리지역을 선정하고 맞춤형 수질 오염원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등 선제적인 대응체계를 마련한다.
지난 여름 낙동강에 녹조가 심각해 수돗물 안전을 위협할 정도였는데 조류경보 지점을 37곳으로 현재보다 8곳 늘린다.
조류독소와 관련해 정수장 감시항목을 ‘마이크로시스틴-LR’ 1종에서 마이크로시스틴 전체 종으로 확대한다.
153개 정수장에 유충(깔따구) 유출 차단시설을 설치하고 유충을 정수장 감시항목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작년 12월에 준공된 낙동강에만 있는 수질측정센터를 한강에도 구축한다.
이와 함께 물의 비열을 이용한 수열에너지와 댐 내 수상태양광 등 수자원을 활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을 확대할 계획이다.
반도체 생산에 사용되는 초순수 생산기술 국산화를 지속해서 추진하면서 오는 2030년까지 ‘전초기지’ 역할을 할 플랫폼센터를 구축하고 전문인력 390명을 양성한다.
연내 해수담수화 선박기술을 완전히 확보하고 저탄소·친환경 담수화 플랜트기술 연구개발(R&D)에도 투자하기로 했다.
axkj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