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종환

axkjh@ekn.kr

김종환기자 기사모음




에너지 공공기관,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인프라 구축 가속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2.02 15:25
2023020201000124100004981

▲액화수소 인프라 구축 계획안,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에너지 공공기관들이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해 인프라 구축으로 속도를 낼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 주재로 ‘제3회 에너지 공공기관 수소경제협의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 이행방안을 논의했다.

가스공사는 기존 액화천연가스(LNG) 도입과 인프라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오는 2029년까지 10만t(톤) 규모의 해외 액화수소 인프라를 구축할 방침이다.

액화수소 인수기지 개념설계에 착수하고 액화수소 운송선 발주를 위한 주요 사양을 정립한다.

이와 병행해 기존 천연가스 배관을 활용한 수소혼입 실증을 위해 올해 평택지역에 실증설비를 구축하고 내년에는 제주지역 LNG발전소에 수소혼입 시범운영을 추진한다.

석유공사는 해외 청정 수소 도입의 주된 수단인 암모니아 유통 인프라 구축을 본격 추진할 방침이다.

석탄발전소가 밀집된 서해, 동해, 남해권역별 인수기지 설계를 올해 착수하고 오는 2026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또 인수기지 인근에 암모니아를 수소 변환시키는 크래킹 설비를 구축해 오는 2027년부터 LNG-수소 혼소 발전을 위한 수소를 공급할 계획이다.

한국전력 산하 발전5사는 정부 연구개발(R&D), 발전현장 실증 등을 통해 오는 2026년까지 수소 혼소기술을 확보하고 오는 2028년부터 청정수소·암모니아 상용 발전을 추진할 방침이다.

남부발전은 민간기업 협업을 통해 자체적으로 암모니아 혼소발전을 위한 저장탱크, 하역부두 등 인프라 구축을 추진한다.

정부는 올해 상반기 중 수소발전 입찰시장을 개설하고 해외 수소도입 시범사업, 수소발전 규제개혁 등 청정수소 생태계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천 실장은 "수소발전은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의 핵심으로 에너지 공공기관이 수소발전·인프라 구축을 선제적으로 추진하여 민간의 투자를 촉진하고 시장의 불확실성을 해소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axkj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