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일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열린 ‘화물 운송시장 개선을 위한 긴급 화주 간담회’에서 김병유 무역협회 회원서비스본부장이 화주 기업 10개사가 참여한 가운데 발언하고 있다. 사진=무역협회 |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정부의 ‘화물차 표준운임제 도입’에 화주 기업들이 "요금 강제 방식이 아닌 가이드라인 방식 표준운임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무역협회(KITA)는 전날 삼성동 무역센터에서 ‘화물 운송 시장 개선을 위한 긴급 화주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는 최근 국토부가 제시한 ‘화물 운송 시장 정상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화주 기업 10개사 관계자를 초청해 진행됐다.
화주 대표들은 간담회에서 "컨테이너 화물 운송 요금은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돼야 한다"며 "일시적으로 표준운임제를 도입한다 하더라도 업계가 자율적으로 참고하는 가이드라인 방식이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운임위원회 구성시 운송 서비스 공급자와 수요자 수를 동일하게 맞춰 달라는 요구는 반영됐지만, 여전히 차주와 운송사 대표의 숫자가 화주보다 많아 협상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표준운임제가 3년 일몰로 도입된 데 대해서는 "일몰 결정 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3년 후에 다시 한 번 지금과 유사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병유 한국무역협회 회원서비스본부장은 "지난 수십 년간 여러 차례의 화물운송 시장의 개선 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공급측 보호를 이유로 시장의 진입 장벽만 높게 쌓았다"며 "운송 시장의 구조를 바꾸지 않는다면 앞으로도 유사한 문제가 계속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lsj@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