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6일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열린 가상자산 관련 금융리스크 점검 토론회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 원장은 16일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열린 ‘가상자산 관련 금융리스크 점검 토론회’가 끝난 후 취재진이 금융당국 압박으로 기준금리 인상 이후에도 은행권의 대출금리가 인하될 것으로 전망되는 것에 대한 의견을 묻자 이처럼 답했다.
그는 "은행은 거의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라며 "발생한 이익의 3분의 1을 주주환원하고 3분의 1을 성과급으로 지급한다면 최소한 나머지 3분의 1 정도는 우리 국민 내지는 금융소비자 몫으로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 개인적 생각"이라고 했다.
이어 "금융소비자에 대한 몫을 고민하는 방식이 시장 친화적인 방법으로 이뤄져야 하지만, 지금까지 은행의 사회공헌 노력을 보면 금액적 측면에서 주주환원·성과급에 대한 배려보다는 훨씬 더, 10분의 1 이하로 적은 금액이 아니냐는 비판적 시각이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금리가 가파르게 오른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상반기를 ‘비상적 상황’이라고 정의하고 은행의 공적 기능이 매우 중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그는 "수요와 공급, 양쪽 사이드의 물가 교란에 기인한 이자 상승 국면으로 40년 이내 보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지금이 비상적 상황이 아니면 다른 더 이상의 비상적 상황은 찾아보기 어려운 시기"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이런 시기에는 은행의 공적 기능이 중요하다는 것은 저뿐 아니라 여러 의사결정자들이 갖고 있는 생각"이라며 "개별 은행의 이자 변동 수준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시장적 배분 기능 관점에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맞지만 방향성이나 의사결정 측면에서 그런 부분에 대한 강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