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조하니

inahohc@ekn.kr

조하니기자 기사모음




여행업계 "中관광객 받나 싶었는데" 한숨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1.15 14:58

韓 PCR 의무화에 中 단기비자 중단 수요감소 걱정



"당장 피해 없으나 기업 출장 등 상용 여행사 타격"



장기화 대비 여행상품 출시 조정…"조속 해결" 촉구

2023011501000710700031931

▲지난 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출국장이 여행을 떠나는 탑승객들로 붐비고 있다. 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 조하니 기자] 최근 중국 정부가 한국 정부의 중국발 입국자 코로나19 바이러스 PCR(유전자증폭)검사 의무화에 반발해 중국 입국 한국인의 단기·경유비자 발급을 전면 중단하자 국내 여행업계가 다시 ‘중국여행 리스크’에 한숨을 쉬고 있다.

지난해 말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 폐지로 올해 상반기부터 한·중 여행 재개의 기대감이 어느 때보다 높았던 여행업계는 당장에 피해는 없을 것이라는 반응을 보이면서도 장기화될 경우를 고려해 다른 해외여행 상품을 다양화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는 분위기다.

15일 여행업계에 따르면, 참좋은여행·모두투어·노랑풍선 등 주요 여행사들은 당장 중국정부의 비자발급 제한에 따른 매출 피해는 없다는 입장이다. 당초 중국 관광을 위한 단기 비자는 코로나 유행이 확산된 시점부터 발급이 중단된 만큼 현재 관련 상품 판매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난 8일부터 중국 정부가 해외여행 규제를 해제했지만 현지 코로나 재유행으로 사실상 관련 여행상품 예약률은 ‘제로(0)’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참좋은여행사 관계자는 "중국 관광 자유화를 감안해도 현지 코로나 확산세가 너무 거센 상황"이라면서 "절정 상태를 지나 집단면역이 형성돼 안전성이 확보될 때부터 관련 여행상품을 판매할 예정으로 현재 매출 타격은 없다"고 말했다.

모두투어 관계자도 "올 상반기 중국 여행시장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돼 현지 사업부 직원들을 배치해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관련 여행 상품을 재정비하고 있는 상태"라고 전하며 "실제 중국 여행 상품을 출시한 것이 아니라 큰 타격을 입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만, 여행업계는 중국의 비자 발급 중단 대상에 기업 활동이 포함된 만큼 기업 출장 등의 목적으로 비자 발급을 맡고 있는 상용여행사에 적지 않은 피해가 우려된다고 입을 모았다. 실제 레드캡투어 등 일부 상용여행사의 경우 비자 중단 제한조치 이후 빈손으로 돌아오는 사례도 있었다.

중국비자발급센터 등에 따르면 지난 10일부터 발급 중단된 비자는 30~90일 동안 사업·무역활동 목적으로 중국 내 체류할 수 있는 상용 비자, 중국 내 가족이 거주할 경우 최대 180일까지 체류 가능한 가족동반 비자 등이다. 상용비자의 경우 중국 지방정부의 초청장이 있어야만 발급할 수 있도록 변경됐다.

여행업계는 비자 발급 제한에 따른 피해는 현재 저조한 상태지만 한·중 사이에 불거진 냉기류가 지속되는 만큼 사태 장기화 가능성을 더 우려하고 있다.

노랑풍선 관계자는 "당장 비자발급 중단에 따른 매출 영향은 미비하겠지만, 국가 간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중국여행 정상화에 적지 않은 피해가 예상된다"고 걱정했다.

우리 정부도 지난 12일부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등 준정부기관을 통한 중국 무역지원 데스크 설치로 주요 기업 대상 긴급 지원에 나선 한편, 한·중간 관광 재개 시점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여행업계는 오는 3월 말 항공사 하계 스케쥴에 맞춰 관련 상품 출시를 조율하는 등 대응 마련에 나서고 있다.

또다른 여행업계 관계자는 "현재 상황에서 할 수 있는 대응은 관련 상품을 재정비하고 양국 정치 문제에 따른 과도한 규제가 해소되길 기다리는 것이 전부"라며 "업체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조치가 제한적인 만큼 정부가 조속히 사태를 해결해 주길 바랄뿐"이라고 말했다.


inahohc@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