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AP/연합뉴스 |
가장 눈길을 끄는 지점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행보다.
로이터, 워싱턴포스트(WP), 타스 등을 인용한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나 "우리의 목표는 전쟁의 쳇바퀴를 돌리는 것이 아니라 전쟁을 끝내는 것"이라며 "종전을 위해 노력할 것이고, 이는 빠를수록 좋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 차례 말했듯 적대행위의 심화는 불필요한 손실로 이어진다"며 "모든 무력 충돌은 어떤 식으로든 외교적 협상을 통해 끝난다"고 밝혔다.
그는 또 "우리는 이런 입장을 포기한 적이 없다"면서 "우리를 적대하는 이들도 이런 현실을 더 일찍 깨달을수록 더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외교를 통한 빠른 종전" 입장을 재확인하면서도 처음으로 우크라이나 침공을 ‘전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간 러시아 정부는 ‘전쟁’이라는 단어 대신 ‘특별 군사작전’이라는 표현을 써왔다.
지난 3월 러시아 의회가 군 운용에 관한 허위 정보 유포 시 최대 15년 징역형을 부과하는 형법 개정안을 통과시킨 뒤 푸틴 대통령이 이에 서명하면서 러시아에서 우크라이나전을 ‘전쟁’이라고 부르는 게 사실상 불법이 됐다.
WP는 이에 전쟁이 소수 전문 군인들에게 국한된 ‘작전’이라는 점을 강조해 전쟁에 대한 러시아 시민들 우려를 불식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분석했다.
특히 이날 푸틴 대통령 메시지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해 2조원이 넘는 군사 지원을 추가 확보한 다음날 나와 더 관심을 받았다.
다만 푸틴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이번 방미 기간 미국으로부터 약속받은 패트리엇 방공 미사일에 대해선 낡은 무기라고 선을 그었다.
러시아 야권에서는 푸틴 대통령 ‘표현 변화’에 이른바 내로남불이라는 지적이 이어졌다.
게오르기 알부로프는 트위터에서 "알렉세이 고리노프는 의원 회의에서 전쟁을 전쟁이라고 불렀다는 이유로 7년형을 선고받았다"며 "오늘 푸틴 역시 자신의 일터에서 공개적으로 전쟁을 전쟁이라고 불렀다. 그러므로 고리노프를 석방하든가 푸틴을 7년간 감옥에 가둬라"고 말했다.
알부로프는 푸틴 대통령 정적인 알렉세이 나발니의 측근으로 꼽힌다. 니발니는 러시아 고위 관료들의 비리 의혹을 폭로해 푸틴 정부의 탄압을 받은 인물이다. 그는 2020년 독극물 중독 증세를 보여 독일에서 치료받다가 작년 1월 귀국과 동시에 투옥됐다.
니키타 유페레프 상트페테르부르크시 스몰닌스코예 구의회 의원더 이날 푸틴 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수사를 요청하는 고소장을 작성했다고 밝혔다.
유페레프 의원은 트위터에서 "이미 수천 명의 사람이 전쟁을 언급해 기소되었으므로, 나는 당국에 군대에 대한 허위 사실을 유포한 혐의로 푸틴을 기소할 것을 요청했다"고 적었다.
반전론자인 그는 현재 망명한 상태로 원격으로 공식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