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조하니

inahohc@ekn.kr

조하니기자 기사모음




또 '가품 논란'…명품플랫폼 대응도 빠르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1.03 18:10

발란, ‘후드 가품’ 시비에 즉각 200% 선보상 조치



경쟁사도 감정업체 발굴. 법인 분리, 검수 등 강화



무신사 가품 이후 재발방지조치에 신뢰 의문 제기

발란

▲사진=발란(BALAAN)

[에너지경제신문 조하니 기자] 올해 초 가품(짝퉁) 논란으로 도마 위에 올랐던 명품 플랫폼업계가 다시 ‘가품 시비’에 휘말리자 서둘러 사태 진화에 집중하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명품 플랫폼 발란은 최근 제기된 ‘스투시 후드 가품 논란’과 관련해 피해자에게 당시 구매가의 200% 상당인 약 60만원을 선보상했다. 정·가품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판매자와 구매자 쌍방에 소명자료 제출을 요청한 상태이나 피해 고객의 불편을 최소하하기 위해 우선 지급했다는 회사 측의 설명이다.

선보상 대상이 된 가품 논란 제품은 지난달 발란에서 판매한 ‘스투시 월드투어 후드 집업’이다. 당시 온·오프라인 채널에서 품절된 상품으로 정가(16만7000원)보다 프리미엄 가격이 붙은 30만원대에 거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구매자가 해당 제품을 리셀 플랫폼인 ‘네이버 크림’에 되파는 글을 올리면서 시작됐다. 크림 측은 스투시 후드의 택·라벨 등이 정품과 다르다며 가품 판정을 내렸고, 이를 판매한 소비자에게 제품 가격의 약 15%인 5만1000원의 페널티를 부여했다.

발란 관계자는 "해당 제품의 정·가품 진위 여부 확인을 위해 명품감정원 ‘고이비토’ 측에 의뢰했지만 하이엔드 브랜드가 아닌 점을 감안해 거절했다"며 "이에 영세업체에서 검증을 진행하느라 다소 일정이 지연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발란이 가품 검수 과정에서 물의를 빚은 것은 지난 6월에도 있었다. 당시 발란에서 판매한 ‘나이키 에어 조던1X트레비스 스캇 레트로 하이 모카’가 한국명품감정원 감정 결과 가품으로 밝혀진 것이다.

다른 업체도 마찬가지다. 앞서 패션 플랫폼 ‘무신사’도 지난 4월 명품 전문관 ‘무신사 부티크’에서 판매한 유명 브랜드 티셔츠가 가품으로 판정돼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이처럼 잇따른 구설수에 올라 소비자 신뢰에 금이 가자 업계는 관련 대응 강화에 분주한 모양새다.

이번 가품 논란을 계기로 발란은 이달 중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대응 방안을 서둘러 마련하고 있다.

고가 브랜드 외에도 스트릿 브랜드 등을 대상으로 한 ‘제2 영세 감정업체’를 지속 발굴하고, 진위여부 판정 시간이 지체될 것을 대비한 규정도 새로 만든다. 또한, 현재 진행중인 1000여개에 이르는 입점 업체 정기 검수, 미스터리 쇼핑(암행 장보기) 외에도 판매자 입점 심사 기준도 더욱 엄격하게 높일 예정이다.

경쟁업체인 트렌비도 3일 자체 운영해온 명품감정센터를 독립법인 ‘한국정품감정센터’로 분리해 전문성을 높였다. 그동안 감정 경험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신력 있는 감정원 운영이 가능할 것이란 판단에서다. 회원만 가능했던 기존 서비스와 달리 누구나 유상으로 감정을 받아볼 수 있는 게 특징이다.

트렌비는 이달 중 명품을 자산화할 수 있는 NFT(대체불가능토큰) 정품 보증서 서비스도 선보인다. 제품 구매 시 자동 발급되는 방식으로 제품 구입·유통 경로, 전문 감정사 검수 이력도 기록된다. 블록체인 기술도 적용돼 복제나 수정도 불가능하다.

트렌비 관계자는 "내부 감정원이라면 소비자 입장에선 아무래도 신뢰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트렌비와 연계한 감정센터 분사로 더욱 믿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 머스트잇 역시 신규 판매자 가입 절차를 강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아울러 위조품 신고나 가품 판정이 잦은 브랜드 카테고리, 해당 제품 판매자의 전 상품까지 정·가품 검수 프로세스 강도를 높일 방침이다.

명품 플랫폼 업계 관계자는 "대다수 업체가 안정적 유통구조를 갖춰가는 추세지만 해외 구매 대행이나 병행 수입 등 구조 특성상 빈틈이 많아 100% 정품 보증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전망"이라고 말했다.


inahohc@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