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영쇼핑 로고. 사진=공영쇼핑 |
공영쇼핑은 중소기업 제품과 농·축수산물 판로 확대를 위해 탄생한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이다.
12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구자근 의원이 공영쇼핑에서 제출 받은 ‘2021년 TV홈쇼핑 브랜드 진단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공영쇼핑의 브랜드 인지도는 85.8%로 주요 TV홈쇼핑 브랜드 중 가장 낮았다.
해당 조사는 지난해 전국 만 25~65세 성인 중 최근 1년 내 홈쇼핑 구매 경험이 있는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브랜드 인지도는 GS홈쇼핑이 99.4%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현대홈쇼핑과 롯데홈쇼핑(R 99.2%), CJ온스타일(98.6%), NS홈쇼핑(94.9%), 홈앤쇼핑(90.7%) 순이다.
호감도 부분에서도 GS홈쇼핑이 65.1%로 가장 높았고 공영쇼핑이 34.1%로 가장 낮았다. 공영쇼핑은 향후 이용 의향, 최근 1년 이내 구매 경험, 친숙도, 추천 의향 등의 분야에서도 모두 꼴찌를 기록했다.
TV홈쇼핑을 떠올리면 가장 먼저 연상되는 회사를 묻는 최초 상기도 부문에선 CJ온스타일이 1위에 이름을 올렸으며, △GS홈쇼핑(23.4%) △현대홈쇼핑(15.9%) △롯데홈쇼핑(15.4%) △홈앤쇼핑(9.4%) △공영쇼핑(2.5%) △NS홈쇼핑(2.0%)가 뒤를 이었다.
전체 TV홈쇼핑의 주요 구매 품목은 패션·언더웨어가 26.3%로 1위였으며, 신선식품·지역특산물(15.9%), 가공식품(13.4%), 건강식품(13.0%), 화장품(12.9%), 패션 소품·잡화(5.1%), 주방용품·침구류(4.8%) 등 순이다.
TV홈쇼핑 구매 시 주문 방법은 모바일앱(43.3%), ARS 자동주문(33.8%), 상담원 연결 주문(9.7%), 웹사이트 주문(8.0%), 리모컨 주문(3.6%) 순이다.
구자근 의원은 "공영쇼핑이 공공기관이라는 한계에 갇혀 치열한 TV홈쇼핑 브랜드 경쟁에서 밀리고 있다"며 "과감한 조직진단과 경영쇄신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고 우수한 제품 발굴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해 공영쇼핑에서 50억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해 ‘스타상품’으로 선정된 품목 17개 중 8개 품목은 수수료가 20%를 넘는다.
구 의원은 "과기부가 지난 TV홈쇼핑 재승인 심사 과정에서 공영쇼핑에 공적 기능 확보를 위해 수수료 20% 이하를 재승인 조건으로 제시했다"며 "공영쇼핑이 매출이 높은 상품에 고율의 수수료를 책정하고 판매율이 낮은 제품은 낮은 수수료를 책정하는 방식으로 평균 수수료 20% 이하를 맞춰 의미가 퇴색됐다"고 꼬집었다.
inahoh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