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서예온

pr9028@ekn.kr

서예온기자 기사모음




정용진 부회장, 올해 '국감장 소환 여부' 촉각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9.27 18:20

스타벅스 발암물질·개인정보, 복합몰 조성 등 '신세계 논란'



환노위·산자위 야당의원 잇따라 추진…여야협의 채택 안돼



과방위는 '소환 불씨' 남아…"경영 위축-재발 방지" 엇갈려

clip20220927111112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에너지경제신문 서예온 기자] 오는 10월 윤석열 정부 첫 국정감사를 앞두고 신세계그룹의 복합쇼핑몰 스타필드와 커피체인 스타벅스커피가 국감 이슈로 거론되면서 ‘오너 CEO’인 정용진 부회장의 증인소환 여부에 정가와 재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7일 정가 소식통에 따르면, 스타벅스 ‘굿즈 캐리백 발암물질 검출’과 ‘개인정보 유출’, 신세계 광주 복합쇼핑몰 건립추진 관련 지역상생·사업 실행여부 등 여러 이슈가 올해 정기국회 국감 이슈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국회 다수당이자 거대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의원들이 줄줄이 정 부회장을 국회 상임위원회별로 기업 증인 채택을 잇따라 신청하고 있다.

현재 일부 상임위에선 여야 협의를 거쳐 정 부회장의 증인 채택이 제외된 상태이지만, 일부 의원이 여전히 증인 채택을 추진하고 있어 지난 2013년 이후 9년 만에 정 부회장의 국감장 출석 가능성에 세간의 이목이 쏠려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 소속 이수진 의원(민주·비례대표)은 지난 7월 스타벅스 캐리백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된 사건과 관련해 정 부회장과 송호섭 SCK컴퍼니(스타벅스커피코리아) 대표를 모두 증인으로 신청했다.

그러나, 전날 상임위 여야 회의에 따라 정 부회장은 기업 증인 출석 명단에서 빠졌다. 송호섭 스타벅스코리아 대표만 기업 증인 채택 대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스타벅스의 캐리백 발암물질 검출은 스타벅스 e-프리퀀시 상품인 서머 캐리백에서 1군 발암물질인 폼알데하이드가 검출된 사건이다. 당시 스타벅스가 가방 제조사로부터 캐리백에서 검출된 화학물질과 관련한 보고서를 받았음에도 가방 제공 이벤트를 진행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커졌다,

환노위에 이어 국회 산업통상자원 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도 정 부회장을 국감 증인으로 검토했다. 민주당 이용빈 의원이 최근 신세계그룹의 광주 복합쇼핑몰 건립 추진이 본격화 되면서 복합쇼핑몰과 관련 사업 실천 의지와 지역 상생 방안 등을 질의하겠다는 이유에서 기업 증인으로 신청했다. 이 역시 산자위 전체회의 여야 협의 과정에서 정 부회장을 증인출석 명단에서 제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환노위·산자위 모두 정용진 부회장을 증인출석 명단에서 제외하면서 송호섭 스타벅스코리아 대표와 임영록 신세계프라퍼티(스타필드 관리운영사) 대표가 국감 증인으로 출석하는 선에서 여야간 협의가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국회 두 상임위에서 피했지만 ‘정 부회장 국감 출석’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에서 정 부회장의 증인 채택 여부가 결론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스타벅스가 캐리백 발암 물질 검출 외에도 소비자 개인정보 유출 우려 이슈가 있기 때문이다. 스타벅스는 앞서 고객정보와 2000억 예치금 탈취 우려를 경고한 내부고발자에 대기발령 조치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과방위 조승래 의원실(민주당) 관계자는 "개인정보 유출에 관해 보고를 했는데 이 과정에서 석연치 않은 이유로 보고가 제대로 안 됐고, 이런 점을 점검한다는 취지에서 정 부회장 증인 채택 여부를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업계는 올해도 정기국회 국감에서 4대그룹 총수 등 기업 CEO들 20여명을 증인 출석 신청 또는 채택 등 무더기 소환을 한 것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가뜩이나 신3고(고물가고금리고환율)로 국내외 경제 여건이 어려운 와중에 기업인을 소환해 매번 ‘혼내기’, ‘망신주기’ 같은 알맹이 없는 질의로 기업인 사기를 죽이거나 국민에 반기업정서를 심어주는 것이 과연 타당하냐는 지적이다.

반면에 기업 또는 기업인의 잘못된 경영에서 발생한 국민과 경제적 피해를 국회가 제대로 짚어주고 재발방지 약속을 받아내는 것은 국민대의기관 본연의 역할이라는 반론도 나오고 있다.


pr9028@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