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금융감독원. |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7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은 0.22%로 전월 말 대비 0.2%포인트 상승했다. 6월 말의 0.2% 연체율은 역대 최저 수준이다.
지난해 7월에 비해 올해 7월 연체율은 0.05%포인트 하락했다.
연체율은 1개월 이상 원리금이 연체된 대출 비율이다. 2018년 5월(0.62%) 이후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 대출 만기 연장, 상환 유예 조치가 이어지면서 연체율이 하락하는 착시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코로나19 대출 금융지원은 이달 종료될 예정이었으나, 금융당국은 만기 연장·상환 유예 조치를 한번 더 연장하기로 가닥을 잡고 다음 주 발표를 앞두고 있다. 금융당국은 소상공인 대출 만기를 3년, 원금 이자 상환 유예는 1년 재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7월 신규 연체 발생액은 9000억원으로 전월과 유사한 수준이다.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5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1조1000억원 감소했다.
7월 말 기업대출 연체율은 0.24%로 전월 말 대비 0.02%포인트 상승했다. 대기업 대출은 연체율은 0.14%로 전월 말고 유사한 수준이었고,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27%로 0.03%포인트 올랐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 대비 0.01%포인트 상승한 0.19%였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0.11%)은 0.01%포인트, 신용대출 등 가계대출 연체율(0.37%)은 0.03%포인트 각각 올랐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