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 |
특히 당권 장악 이후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재검토 압박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는 송영길 대표가 김 의원의 당 지도부 진입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져 김 의원의 최고위원 내정을 계기로 당의 탈원전 속도조절을 공식화할 지 관심을 모은다.
고용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의 브리핑을 통해 "노동계 몫으로 김 의원(최고위원 내정)을 의결했다"며 "(김 최고위원 내정자는) 당무위를 거쳐 정식으로 활동하게 된다"고 말했다.
김주영 의원은 1986년 한전에 입사한 뒤 2002년부터 2014년까지 4번 연속으로 10년 넘게 전국전력노동조합 위원장 자리를 이어왔다. 전력노조위원장 3선은 전력노조 62년 역사상 처음이다.
김 의원의 당 최고위원 내정에 전력업계의 기대감이 높다. 에너지 전환을 위한 문재인 정부 및 민주당의 ‘탈석탄·탈원전’ 정책 강행 추진과 관련 김 의원이 당 지도부에서 전력 업계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다는 업계의 희망에 따른 것이다.
한전 산하 6개 발전 공기업 등 발전업계는 현재 정부의 탈원전·탈석탄 추진으로 주력 사업이 위축돼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전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한국수력원자력과 석탄화력발전 중심의 사업을 펼치는 발전 공기업 5사는 각각 원전 및 석탄발전 사업의 비중을 줄이고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등 국책사업에 동원되고 있다.
전력업계는 현재 그 어느 때보다 정치권에 업계 목소리를 적극 반영할 발언권 강화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1년도 채 남지 않은 내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에너지정책 논의와 이에 따른 전력산업 구조개편 바람이 불 수 있어서다. 업계는 자칫하다간 발전 공기업 공중분해 등 구조조정의 고통을 겪을 수 있다는 위기감에 휩싸여 있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사태’가 남일 같지 않다는 얘기도 발전 공기업 조직 내에서 흘러나온다.
이에 발전업계의 애로사항을 잘 아는 김 의원이 발전 업계의 어려운 사정을 당정청에 전달하고 설득하면서 여권 내 일부 강경파와 환경단체들의 에너지전환 속도전에 제동을 걸 수 있는 인물로 꼽혀왔다.
공기업은 정부 정책에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기 어렵다. 이에 따라 노조가 공공부문 업계 내 목소리를 정부에 피력하는 역할을 맡기도 한다. 오랜 기간 노조에 몸담은 김주영 의원이 전력업계와 정부 간 소통창구 역할을 해줄 것이라는 관측이다.
송 대표가 주장하는 탈원전 속도조절론에 김 의원이 최고위원으로서 힘을 실어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친원전론자’로 분류되는 송 대표는 최근 안정적인 전력 공급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여권에 민감한 이슈인 탈원전 기조 재검토의 필요성을 내비치기도 했다.
송 대표는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지난 14일 문재인 대통령과 당 지도부 간담회에서 ‘소형 모듈 원자로(SMR)’ 연구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SMR는 전기 출력 300MW 이하 전력을 생산하며 현장 조립이 가능한 소규모 원자로다.
그는 과거 "화력발전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에너지원인 원자력발전은 장기간 공존할 수밖에 없다"며 "생산단가가 높은 재생에너지에만 의존할 경우 전기료 인상이 불가피하게 될 것이다. 중장기 에너지 믹스·균형 정책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대표적인 탈원전 정책 대상으로 지목돼 금기시되는 신한울 3·4호기 원전 건설 재개의 필요성을 제기한 적도 있다.
claudia@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