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올해 여성 일자리 78만개 만든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1.03.04 15:02

정부, 여성고용 회복대책 발표



경력단절 여성 통합취업지원서비스‘ 출범…"女 일자리 체질 개선"

cats111111111111111111111

▲사진=여성가족부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타격을 입은 여성 고용 회복을 위해 올해에만 78만개의 새로운 여성 일자리를 만들기로 했다.

여성가족부는 여성 일자리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당장 시급한 일자리 위기를 극복하고자 관계부처 합동으로 ‘코로나19 여성 고용위기 회복 대책’을 재작했다고 4일 밝혔다.

정부는 추가경정예산 등을 통해 올해 총 78만개의 여성 일자리를 추가로 만들어낼 계획이다. 특히 돌봄이나 디지털 분야, 방역 업무 등 앞으로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분야에서 여성의 경력을 활용할 수 있는 일자리 5만 7000개를 새로 만든다.

경력단절 여성에게 인턴으로 일할 기회를 주고 해당 기업과 개인에게 총 380만원의 보조금을 주는 새일여성인턴제 참여 인원은 기존보다 2000명 더 늘린 9777명으로 확대한다.

특별고용촉진장려금은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모두 1만 8000명의 여성에게 준다. 이 장려금은 중소기업이 6개월 이상 실업 상태에 있는 사람을 채용하면 정부가 1인당 월 최대 100만원씩 6개월간 지원하는 게 골자다.

40∼50대 중장년 여성층을 위해서는 국민취업지원제도를 활용해 5만명을 고용할 수 있는 선발형사업을 시행한다. 올해 안에 추가 예산을 확보해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에 경력단절여성 특화형을 신설한다.

여성이 과학기술 등 전문분야 직업훈련을 수료하면 새일센터를 통해 원스톱으로 취업연계를 하고 사후관리까지 제공하는 ‘경력단절여성 범부처 통합취업지원서비스’를 8개 부처가 협업으로 추진한다.

정부는 이와 함께 디지털 분야를 전공하지 않은 여성을 위해 기본 교육훈련을 제공하는 ‘K-디지털 크레딧’ 사업규모를 2배로 확대할 방침이다.

정영애 여성가족부 장관은 "이번 대책은 노동시장에서 여성 고용 유지와 신속한 회복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여성일자리의 체질개선을 위한 과제들도 함께 포함했다"고 설명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