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최지혜 기자]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4년간 부동산 대책이 25차례나 나왔으나 서울 아파트는 한 채당 5억원(78%)이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3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 정부 출범 당시 6억4000만원이던 서울 아파트값이 2021년 1월 현재 11억4000만원으로 5억원이나 올랐다"며 "성실하게 땀 흘려 일하는 노동자가 꿈과 희망을 품고 살아갈 수 없는 사회가 됐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대책은 언론의 분류에 따라 현재까지 2017년 6회, 2018년 5회, 2019년 7회, 2020년 6회, 2021년 1회 등 총 25회 발표됐다. 유형별로는 분양 관련 대책이 10회로 가장 많았고 금융규제 8회, 임대 대책 7회, 공급확대 대책 6회, 세제 대책 5회 등이었다.
이 같은 대책에도 불구 하고 서울 아파트의 3.3㎡(평)당 가격은 계속 오르고 있다는 것이 경실련의 주장이다.
경실련은 서울 25개 자치구마다 3개 단지를 선정해 총 75개 단지 11만7000가구 아파트를 대상으로 2017년 5월부터 올해 1월까지 시세 변화를 분석했다. 한국부동산원 주택가격 동향조사와 KB국민은행 시세 정보 등을 참고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 서울 아파트값은 3.3㎡당 2138만원이었으나 2021년 1월 3803만원으로 무려 78%나 올랐다. 전용 84㎡(30평형) 아파트로 환산할 경우 6억4000만원에서 11억4000만원으로 5억원이 올랐다. 연평균 1억3000만원씩 오른 셈이다. 특히 강남, 서초, 송파 등 강남 3구의 전용 84㎡ 아파트값은 기간 동안 9억4000만원 상승했다.
특히 문 대통령이 2019년 11월 국민과 대화 중 "부동산 문제에 자신있다"고 발언한 직후 서울 아파트 값은 30% 이상 올랐고 특히 청와대 참모 등이 보유한 아파트 값은 40%나 상승했다. 이후 잠시 주춤하던 아파트 값은 지난해 총선 이후 정부가 ‘용산미니신도시, 공공참여 재개발’ 등이 담긴 5·6 대책을 발표한 뒤 다시 폭등했다.
경실련은 서울 전용 84㎡ 아파트값이 연평균 1억3000만원씩 오르면서 노동자와 유주택자와의 격차가 벌어졌다고 지적했다. 실제 2018년부터 2019년까지 2년간 노동자 임금 상승액은 264만원으로 연평균 132만원 올랐다. 노동자 임금 상승액과 아파트값 상승액은 약 100배 차이가 난다.
경실련은 "가구당 연간 저축액을 1000만원이라 가정하면 5억원을 마련하는데 50년이 걸린다"면서 "주택보유자와 무주택자 간 50년의 자산 격차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경실련에 따르면 2017년 5월부터 2021년 1월까지 3.3㎡당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아파트는 강남구 도곡렉슬(34평형)로 15억원이나 뛰었다. 평당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은 아파트는 성동구 성수 쌍용(30평형)으로 121%나 올랐다. 특히 상승액 상위 10개 아파트 중 강남 3구 아파트는 도곡렉슬, 반포주공 1단지, 래미안 퍼스티지, 잠실엘스, 은마, 압구정 신현대, 레이크 팰리스, 올림픽선수촌 등 8개나 됐다.
경실련은 "핀셋규제, 가짜 분양가상한제, 임대사업자 특혜정책, 무분별한 개발정책 등이 집값 상승의 직접적 원인이 됐다"며 "정부가 획기적으로 정책을 전환하지 않는 이상 문 대통령의 남은 임기 동안 집값이 더 오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땜질 정책을 중단하고 후분양제 전면 실시 등 고장난 주택 공급체계를 전면 개혁해야 한다"며 "4·7 재·보궐 선거 후보들은 분양 원가 공개, 토지 임대 건물 분양 주택 도입 등을 공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3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 정부 출범 당시 6억4000만원이던 서울 아파트값이 2021년 1월 현재 11억4000만원으로 5억원이나 올랐다"며 "성실하게 땀 흘려 일하는 노동자가 꿈과 희망을 품고 살아갈 수 없는 사회가 됐다"고 지적했다.
![]() |
▲정부 대책 발표와 서울 아파트 평당시세 변동 |
이 같은 대책에도 불구 하고 서울 아파트의 3.3㎡(평)당 가격은 계속 오르고 있다는 것이 경실련의 주장이다.
경실련은 서울 25개 자치구마다 3개 단지를 선정해 총 75개 단지 11만7000가구 아파트를 대상으로 2017년 5월부터 올해 1월까지 시세 변화를 분석했다. 한국부동산원 주택가격 동향조사와 KB국민은행 시세 정보 등을 참고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 서울 아파트값은 3.3㎡당 2138만원이었으나 2021년 1월 3803만원으로 무려 78%나 올랐다. 전용 84㎡(30평형) 아파트로 환산할 경우 6억4000만원에서 11억4000만원으로 5억원이 올랐다. 연평균 1억3000만원씩 오른 셈이다. 특히 강남, 서초, 송파 등 강남 3구의 전용 84㎡ 아파트값은 기간 동안 9억4000만원 상승했다.
특히 문 대통령이 2019년 11월 국민과 대화 중 "부동산 문제에 자신있다"고 발언한 직후 서울 아파트 값은 30% 이상 올랐고 특히 청와대 참모 등이 보유한 아파트 값은 40%나 상승했다. 이후 잠시 주춤하던 아파트 값은 지난해 총선 이후 정부가 ‘용산미니신도시, 공공참여 재개발’ 등이 담긴 5·6 대책을 발표한 뒤 다시 폭등했다.
경실련은 서울 전용 84㎡ 아파트값이 연평균 1억3000만원씩 오르면서 노동자와 유주택자와의 격차가 벌어졌다고 지적했다. 실제 2018년부터 2019년까지 2년간 노동자 임금 상승액은 264만원으로 연평균 132만원 올랐다. 노동자 임금 상승액과 아파트값 상승액은 약 100배 차이가 난다.
경실련은 "가구당 연간 저축액을 1000만원이라 가정하면 5억원을 마련하는데 50년이 걸린다"면서 "주택보유자와 무주택자 간 50년의 자산 격차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경실련에 따르면 2017년 5월부터 2021년 1월까지 3.3㎡당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아파트는 강남구 도곡렉슬(34평형)로 15억원이나 뛰었다. 평당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은 아파트는 성동구 성수 쌍용(30평형)으로 121%나 올랐다. 특히 상승액 상위 10개 아파트 중 강남 3구 아파트는 도곡렉슬, 반포주공 1단지, 래미안 퍼스티지, 잠실엘스, 은마, 압구정 신현대, 레이크 팰리스, 올림픽선수촌 등 8개나 됐다.
경실련은 "핀셋규제, 가짜 분양가상한제, 임대사업자 특혜정책, 무분별한 개발정책 등이 집값 상승의 직접적 원인이 됐다"며 "정부가 획기적으로 정책을 전환하지 않는 이상 문 대통령의 남은 임기 동안 집값이 더 오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땜질 정책을 중단하고 후분양제 전면 실시 등 고장난 주택 공급체계를 전면 개혁해야 한다"며 "4·7 재·보궐 선거 후보들은 분양 원가 공개, 토지 임대 건물 분양 주택 도입 등을 공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