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박경민 기자] 국토교통부는 경남 하동에서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처음으로 완료했다고 23일 밝혔다.
경남 하동은 도시재생뉴딜사업 중 하나인 ‘우리동네살리기’ 사업이 진행됐다. 2017년 12월 사업이 선정돼 2018년 7월 사업계획 수립을 완료한 후 2년 4개월 여간 사업이 진행됐다.
경남 하동 도시재생뉴딜사업은 하동의 노후된 저층 주거지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부족한 사회간접자본(SOC)를 공급해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추진됐다.
지역 주민들은 사업 추진에 앞서 주민 협의체를 구성해 동네의 부족한 시설 등을 함께 논의하고, 직접 현장을 돌아보며 필요한 사업을 발굴하는 등 도시재생에 참여했다.
담장이 허물어져 경관을 해치고 안전이 우려되는 54호의 노후주택을 수리하여 주민들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거주할 수 있도록 했고 공가와 폐가로 방치되었던 빈집들은 마을회관과 순환형 임대주택 등으로 탈바꿈됐다.
아무도 활용하지 않은 공터는 주민 공동이용시설인 너뱅이꿈으로 조성돼 마을카페 및 식당, 게스트하우스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또 사업 종료 이후에도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해 지역주민 역량 강화사업도 추진된다. 게스트하우스·카페·식당 등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마을관리협동조합이 되며 사전 교육도 진행된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번 도시재생뉴딜사업 첫번째 완료 사례의 탄생은 2017년 시작된 국정과제의 성과가 점차 가시화되고 지역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의 효과로 나타나고 있다"며 "도시재생이 시급한 지역을 발굴하고 사업관리를 철저히 하겠다"고 말했다.
윤상기 하동군수는 "단절된 철길 마을이었던 광평마을이 도시재생뉴딜사업으로 하동공원, 송림공원 등이 지역을 상징하는 관광자원의 연계 거점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도시재생뉴딜사업 가운데 올해 우리동네살리기사업은 경남 하동, 충남보령, 울산북구, 전북군산 등 4곳에서 완료될 예정이다. 향후 순차적으로 사업이 확대될 예정이다.
경남 하동은 도시재생뉴딜사업 중 하나인 ‘우리동네살리기’ 사업이 진행됐다. 2017년 12월 사업이 선정돼 2018년 7월 사업계획 수립을 완료한 후 2년 4개월 여간 사업이 진행됐다.
![]() |
▲경상남도 하동군의 우리동네살리기 사업 전후 모습. |
지역 주민들은 사업 추진에 앞서 주민 협의체를 구성해 동네의 부족한 시설 등을 함께 논의하고, 직접 현장을 돌아보며 필요한 사업을 발굴하는 등 도시재생에 참여했다.
담장이 허물어져 경관을 해치고 안전이 우려되는 54호의 노후주택을 수리하여 주민들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거주할 수 있도록 했고 공가와 폐가로 방치되었던 빈집들은 마을회관과 순환형 임대주택 등으로 탈바꿈됐다.
아무도 활용하지 않은 공터는 주민 공동이용시설인 너뱅이꿈으로 조성돼 마을카페 및 식당, 게스트하우스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또 사업 종료 이후에도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해 지역주민 역량 강화사업도 추진된다. 게스트하우스·카페·식당 등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마을관리협동조합이 되며 사전 교육도 진행된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번 도시재생뉴딜사업 첫번째 완료 사례의 탄생은 2017년 시작된 국정과제의 성과가 점차 가시화되고 지역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의 효과로 나타나고 있다"며 "도시재생이 시급한 지역을 발굴하고 사업관리를 철저히 하겠다"고 말했다.
윤상기 하동군수는 "단절된 철길 마을이었던 광평마을이 도시재생뉴딜사업으로 하동공원, 송림공원 등이 지역을 상징하는 관광자원의 연계 거점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도시재생뉴딜사업 가운데 올해 우리동네살리기사업은 경남 하동, 충남보령, 울산북구, 전북군산 등 4곳에서 완료될 예정이다. 향후 순차적으로 사업이 확대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