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한국은행. |
[에너지경제신문=송두리 기자] 지난 7월 국내 수출 제품의 가격 수준이 6월보다 소폭 떨어졌다. 반도체 가격 하락 등의 영향을 받았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7월 수출물가 지수는 전월보다 0.4% 하락했다. 지수는 앞서 5월(0.5%)과 6월(0.6%) 두 달 연속 오르다가 석 달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서는 5.8% 떨어져 14개월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품목별 수출물가 하락 폭을 전월 대비로 보면 컴퓨터·전자·광학기기(-2%), 섬유 및 가죽제품(-1.3%), 기계 및 장비(-0.6%), 운송장비(-0.6%)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컴퓨터·전자·광학기기 내 세부품목으로서 반도체 D램 수출 물가는 6.4%, 플래시메모리는 5.2% 각각 하락했다. 휴대전화(-0.9%), 자동차차체부분품(-0.9%) 등도 떨어졌다.
단 환율 효과를 제거한 계약통화 기준 수출물가는 6월보다 오히려 0.3% 올랐다. 1년 전보다는 7.7% 낮은 수준이었다.
7월 수입물가 지수도 6월보다 0.9% 하락했다. 국제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화학제품 등이 물가 하락을 이끌었다. 지난해 7월과 비교해도 9%나 낮은 수준이다.
품목별로 보면 광산품을 중심으로 원재료가 전월대비 1.9% 떨어졌다. 중간재는 0.8%, 자본재 0.1%, 소비재 0.7% 각각 떨어졌다.
계약통화 기준 수입물가 하락률은 전월대비 0.3%, 1년 전 대비 10.9%로 나타났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임진영의 아파토피아]“당첨되면 30억 로또” …세계 유일 ‘청약·전세’, 투기 수단 전락](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1.df00cedbe06a4dc4ba3d3ea66da27d16_T1.jpg)





![[이슈+] ‘AI 버블론’두고 옥신각신, 팩트는?](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1123.929512c4020a4a3081cee760f4ba3c35_T1.jpg)
![[김성우 시평] 탄소규제 강화와 기업의 고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24.49bb7f903a5147c4bf86c08e13851edc_T1.jpg)
![[EE칼럼] RE100 안해도 된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8.dbd99c8761244ca3b29e7374368ee5d8_T1.jpg)

![[이슈&인사이트] 건설안전을 뒤틀리게 할 건설안전특별법안 재고해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0729.c8f45b397be644c2acafb093d3ca8740_T1.jpg)
![[데스크 칼럼] 차기 서울시장의 조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3.14cf6ac622f04bbb8d92ca6558291437_T1.jpg)
![[기자의 눈] 울산·포항·서산 분산에너지 보류, 에너지전환 정치리스크](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1121.a8c58eec092f4c988b0ec1cbd8f5f94c_T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