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성장률 1%p 떨어지면 韓 수출 1.6%p·성장률 0.5%p ↓
펀더멘털 강화·환율 안정 위해 외환시장 개입 등 필요
[에너지경제신문 김민준 기자]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분쟁 장기화로 중국이 경제성장률 6%를 지키는 것이 불가능해질 경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2%대 초반으로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11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한국금융연구원, 아시아금융학회가 공동 주최한 정책세미나에서 "미중 통상마찰이 해소되더라도 중국의 미국산 제품 수입 급증이라는 결론이 나온다면, 중국 시장에서 미국산 제품과 경합도가 높은 철강, 기계, IT, 자동차 등 한국산 제품의 수출 감소가 우려된다"고 분석했다.
통상마찰이 길어질 경우 마찰이 무역 경로에만 영향을 미친다면 우리나라의 피해는 미미하겠지만, 중국이 위안화 약세 방임(조장), 조세수단 동원 등으로 미국에 맞설 경우 중국 수출기업들의 선제적 투자 조정으로 중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자본재 수출이 위축될 것으로 예상됐다. 무역분쟁이 중국 경제 경착륙의 촉매로 작용할 경우 한국 경제도 피해를 보게 된다.
주 실장은 "우리나라와 중국의 경기 움직임이 비슷한 방향성을 갖는다"며 "중국 경제성장률 1%p 하락때 우리나라 수출증가율 1.6%p, 경제성장률 0.5%p 하락 압력이 가해진다"면서 "내년 중국 경제성장률이 5.2%를 기록한다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2%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로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성장이 크게 위축될 수도 있다. 미국이 예고한 조치가 일정대로 진행된다면 향후 5년간 세계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0.3%p가 하락할 전망이다. 미국은 연평균 0.6%p, 중국은 0.7%p가 줄어들 것이라고 주 실장은 예상했다.
주 실장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의 신뢰 회복을 통해 경제 주체들 간의 결속력을 확보, 경제위기때 극복능력을 강화하고 미중 정부의 통상 협상 과정은 물론 중국 정부의 경제 위기관리 능력에 주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근본적으로는 대외 충격을 견딜 수 있는 경제 자체의 펀더멘털을 강화하고 금융시장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펀더멘털 강화·환율 안정 위해 외환시장 개입 등 필요
[에너지경제신문 김민준 기자]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분쟁 장기화로 중국이 경제성장률 6%를 지키는 것이 불가능해질 경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2%대 초반으로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11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한국금융연구원, 아시아금융학회가 공동 주최한 정책세미나에서 "미중 통상마찰이 해소되더라도 중국의 미국산 제품 수입 급증이라는 결론이 나온다면, 중국 시장에서 미국산 제품과 경합도가 높은 철강, 기계, IT, 자동차 등 한국산 제품의 수출 감소가 우려된다"고 분석했다.
통상마찰이 길어질 경우 마찰이 무역 경로에만 영향을 미친다면 우리나라의 피해는 미미하겠지만, 중국이 위안화 약세 방임(조장), 조세수단 동원 등으로 미국에 맞설 경우 중국 수출기업들의 선제적 투자 조정으로 중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자본재 수출이 위축될 것으로 예상됐다. 무역분쟁이 중국 경제 경착륙의 촉매로 작용할 경우 한국 경제도 피해를 보게 된다.
주 실장은 "우리나라와 중국의 경기 움직임이 비슷한 방향성을 갖는다"며 "중국 경제성장률 1%p 하락때 우리나라 수출증가율 1.6%p, 경제성장률 0.5%p 하락 압력이 가해진다"면서 "내년 중국 경제성장률이 5.2%를 기록한다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2%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로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성장이 크게 위축될 수도 있다. 미국이 예고한 조치가 일정대로 진행된다면 향후 5년간 세계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0.3%p가 하락할 전망이다. 미국은 연평균 0.6%p, 중국은 0.7%p가 줄어들 것이라고 주 실장은 예상했다.
주 실장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의 신뢰 회복을 통해 경제 주체들 간의 결속력을 확보, 경제위기때 극복능력을 강화하고 미중 정부의 통상 협상 과정은 물론 중국 정부의 경제 위기관리 능력에 주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근본적으로는 대외 충격을 견딜 수 있는 경제 자체의 펀더멘털을 강화하고 금융시장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