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에 위치한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입구. 사진=연합뉴스
포스코가 그룹 차원의 산업안전 경영을 최우선으로 표방했음에도 최근 경북 포항제철소에서 안전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제철소장 경질이라는 초강수를 뒀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의 거듭된 안전경영 강조에도 불구하고, 정작 현장에서 제대로 실행되지 않자 문책성 인사조치를 단행한 것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최근 안전사고의 원인이 유해물질 누출에 따른 것으로 추정되면서 그동안 현장 작업과정의 안전관리에 넘어 유해물질 관리를 비롯한 산업안전보건체계의 근본적인 허점도 진단하고 개선하는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3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지난 21일 이동렬 포항제철소장을 보직 해임했다. 이희근 포스코 대표이사(사장)가 직접 제철소장을 맡아 잇따른 산업재해의 원인과 대책을 마련하는 일을 지휘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포스코그룹은 유인종 포스코세이프티솔루션 대표를 회장 직속 그룹안전특별진단 태스크포스(TF) 팀장에 선임했다. 유 대표는 그룹 차원의 안전사고 재발 방지 대책 수립을 주도하고, 그룹 안전 관리 혁신 계획을 실행할 예정이다. 유 대표는 삼성물산 안전기술팀장과 쿠팡 안전부문 부사장을 역임한 바 있다.
이번 인사 조치는 그안전을 강조하는 그룹 경영 기조 속에서도 포항제철소에서 산업재해가 잇따르자 책임을 물은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0일 경북 포항에 위치한 포스코 포항제철소 스테인리스스틸(STS) 4제강공장에서 슬러지(찌꺼기) 청소를 하던 50대 용역업체 직원 2명과 현장에 있던 40대 포스코 직원 1명이 작업 중 발생한 일산화탄소로 추정되는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앞서 지난 5일에도 스테인리스 압연부 소둔산세공장에서 포스코DX의 하도급 업체 소속 근로자 4명이 화학물질 배관을 밟고 이동하다 배관이 파손되며 불산으로 추정되는 유해 화학 물질에 노출됐다. 3월에는 포항제철소 냉연공장에서 포스코PR테크 40대 직원이 수리 작업 중 설비에 끼여 숨졌다.
이 사장은 21일 사과문을 통해 “포스코는 사고발생 즉시 사고대책반을 가동하고 관계 기관의 정확한 사고원인 규명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무엇보다도 사고를 당하신 분들이 하루빨리 건강을 회복하실 수 있도록 모든 지원과 조치를 신속히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 사장은 “올해 들어 연이어 발생한 안전사고로 인해 많은 분들에게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대표이사로서 무거운 책임을 통감한다"며 “철저한 반성과 근본적인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여 이러한 사고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회사의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그룹이 장 회장 중심으로 강화해온 안전경영 기조가 산업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쓴소리가 제기된다.
포스코그룹은 회장 직속으로 안전특별TF와 독립적 자문위원회를 운영하고, 그룹 안전관리 전문 자회사 포스코세이프티솔루션을 설립하며 안전 경영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글로벌 안전 컨설팅 기업인 SGS, dss와도 협력하기로 했다.
그러나 산업재해가 반복되면서 원인 진단을 다시 하고 그룹 안전관리 체계를 되돌아볼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금속노조 포항지부는 21일 기자회견 예고문을 통해 “도급계약으로 얻는 재원만으로 운영되는 도급사는 위험한 설비 개선은 물론, △가스 측정 △ 환기 △ 2인 1조 △ 보호구 지급과 같은 가장 기본적인 안전조치조차 감당할 수 없는 구조"라며 “이것이 포스코가 수차례 안전대책을 발표해도 중대재해가 반복되는 근본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는 “작업장에서 유해가스 유출 방지, 유해가스·산소 농도 모니터링, 근로자 교육·사전점검이 하나의 사이클로 이뤄져야 재해 예방이 가능하다"며 “불완전 작업을 유발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노력을 현장 최고 책임자뿐만 아니라 경영진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500원 이상 갈수도”…환율 공습에 발 묶인 ‘금리 인하’ [전문가 진단]](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0907.0b16ee4d4f04416a8408297a67ebfacf_T1.jpg)

![[디젤 게이트 10년] ① 세기의 車스캔들…내연차서 전기차로 ‘전환점’](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3.524772edf4154b439516556028ac59fa_T1.png)




![[임진영의 아파토피아]“당첨되면 30억 로또” …세계 유일 ‘청약·전세’, 투기 수단 전락](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1.df00cedbe06a4dc4ba3d3ea66da27d16_T1.jpg)

![[김성우 시평] 탄소규제 강화와 기업의 고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24.49bb7f903a5147c4bf86c08e13851edc_T1.jpg)
![[EE칼럼] RE100 안해도 된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8.dbd99c8761244ca3b29e7374368ee5d8_T1.jpg)

![[이슈&인사이트] 건설안전을 뒤틀리게 할 건설안전특별법안 재고해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0729.c8f45b397be644c2acafb093d3ca8740_T1.jpg)
![[데스크 칼럼] 차기 서울시장의 조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3.14cf6ac622f04bbb8d92ca6558291437_T1.jpg)
![[기자의 눈] 울산·포항·서산 분산에너지 보류, 에너지전환 정치리스크](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1121.a8c58eec092f4c988b0ec1cbd8f5f94c_T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