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정승현

jrn72benec@ekn.kr

정승현기자 기사모음




정유사, SAF로 에너지전환·수익창출 ‘일석이조’ 노린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30 17:04

국내 2027년부터 항공유에 SAF 1% 함유 의무

석유 기반 항공유보다 탄소배출 최대 80% 줄여

국내 생산·판매 넘어 해외 수출로 성과축적 단계

원유정제설비 이용 한계, 개발·판매 인센티브 필요

SK에너지, 지속가능항공유 유럽 수출

▲SK에너지 관계자들이 지난 1월 4일 SK이노베이션 울산콤플렉스 부두에서 유럽으로 수출하는 지속가능항공유(SAF)를 선박에 선적한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SK에너지

국내 정유업계가 최근 정부의 지속가능항공유(SAF) 사용 의무화 정책 발표 및 SAF 얼라이언스 발족을 계기로 'SAF 경쟁력 강화'에 속도를 낸다.


SAF는 폐식용유, 동·식물 기름, 도시 폐기물, 바이오매스 등을 이용해 만든 항공 연료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기존 항공유보다 최대 80% 줄일 수 있는 연료로 평가받는다. 기존 내연기관 엔진에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정유사들이 SAF를 석유산업 중심의 구조를 벗어나고 탄소 배출 감축에 기여하는 미래 산업으로 꼽고 있다.


우리 정유업계가 기존 원유 정제설비를 활용한 '코-프로세싱' 방식을 중심으로 단기적 성과를 내고 있지만, 생산성과 수익성의 한계와 정부 차원의 SAF 생산 지원 정책 부족으로 그동안 총력을 기울이지 못한 상태였다.


정유업계는 글로벌시장에서 SAF산업을 지속적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설비 투자를 비롯해 제조와 판매에서 인센티브도 정부 차원에서 제공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30일 정유업계에 따르면, SK에너지와 GS칼텍스, 에쓰오일(S-OIL), HD현대오일뱅크 등 정유4사는 국내외에서 항공유로 SAF 사용을 의무화하는 정부 정책에 적극 호응한다는 움직임이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해 8월 'SAF 확산 전략'에 에어 올해 9월 19일 시기별로 SAF 사용 최소 비율 규제를 담은 'SAF 혼합 의무화제도 로드맵'을 공개한 데 따른 대응이다.


로드맵에 따르면, 국내 항공사들은 오는 2027년부터 항공유에 SAF를 최소한 1% 섞어 사용해야 한다. 이어 혼합의무 비율을 2030년 3~5%, 2035년 7~10%로 단계적으로 늘려야 한다.


SAF 혼합 의무 움직임은 이미 해외 항공업계를 중심으로 시행 중이다. 노르웨이는 2020년부터 SAF를 항공유에 일정 비율 혼합하는 정책을 세계 최초로 시행했다. 유럽연합(EU)은 올해부터 SAF 혼합 의무 비율을 2%로 규정했다. 이를 시작으로 2050년까지 이를 70%로 확대할 계획이다.


국내에선 현재 정유 4사가 원유를 정제하는 기존 설비를 활용하는 '코-프로세싱' 방식으로 SAF를 생산하고 있다. 원유를 가열해 가솔린, 나프타 등으로 분리하고 촉매 반응을 품질을 강화하는 설비에서 바이오매스 등 같은 원료를 투입해 전처리와 증류 같은 처리를 한다.


SK에너지가 SAF 전용 생산라인을 구축해 연간 10만톤(t)의 생산 능력을 확보한 사례도 코-프로세싱 방식이 적용됐다. 석유제품 생산 공정에 바이오 원료를 상시적으로 투입하는 설비를 마련하고, 바이오 원료를 안정적을 확보하기 위해 SK이노베이션 자회사를 통해 폐자원 기반 원료 업체에 지분을 투자했다.


HD현대오일뱅크 SAF 대한항공 공급

▲HD현대오일뱅크 관계자들이 22일 HD현대오일뱅크 지속가능항공유(SAF) 생산 공정에서 대한항공 국제선에 SAF를 공급하기로 한 것을 기념해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HD현대오일뱅크

이들은 해외 시장에서부터 공급 실적을 쌓고 있다. HD현대오일뱅크가 지난해 6월 일본에 공급하면서 4사 중 가장 먼저 공급 실적을 쌓았고, GS칼텍스는 9월 핀란드 네스테사의 SAF를 일반 항공유와 혼합해 제조한 제품을 일본에 수출했다. SK에너지는 올해 1월 유럽 SAF 시장을 국내 정유사들 중 처음으로 뚫었고, 홍콩 캐세이퍼시픽과도 공급 계약을 맺었다.


국내에서는 SK에너지와 에쓰오일이 지난해 9월부터 대한항공 인천-하네대 노선에 SAF를 공급했고, 올해 9월부터는 HD현대오일뱅크와 GS칼텍스가 각각 대한항공 인천-고베, 김포-오사카 노선에 공급하기로 했다.


아직은 정유사들이 넘어야 할 장벽이 높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SAF 코-프로세싱의 수율이 10% 미만인데다 생산 단가가 일반 석유계 항공유보다 2배가량 비싸다. 오는 2027년 당국 예고대로 SAF 규제가 시행되면 정유사들이 더 큰 생산 비용을 감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당국이 SAF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고 연구개발과 시설투자에 각각 최대 40%와 25%의 세액공제를 제공하고, 신규 투자에 대한 정책금융을 검토하기로 했다. 다만 생산성 향상과 시장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보조금 같은 더 강력한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업계에서 나온다.


해외 국가들에서는 이미 SAF 사용을 일정 비율 만큼 의무화하며 인센티브 정책을 같이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네덜란드는 EU 정책에 더해 정유사들이 SAF 생산설비에 투자하면 최대 45%까지 세액공제를 적용하고, SAF 구매 보조금을 t당 500유로까지 제공한다. 미국에서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근거로 SAF 생산에 대한 세액공제를 갤런((약 3.78리터)당 1.25~1.75달러를 부여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