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달러화(사진=AF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4월 발표한 상호관세 이후 주목받았던 '셀 아메리카'(미국 자산 매도) 트레이딩이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동맹과 적대국을 가리지 않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발표 직후에는 미국 주식·국채·달러가 일제히 매도세에 휘말렸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미국 증시에는 자금이 몰리는 반면 달러를 기피하는 흐름이 뚜렷해졌다. 이는 해외 투자자들이 미국 자산에 투자하면서 동시에 달러화 환헤지(환율 위험 회피)를 확대한 결과로,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이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환헤지로 쏠리는 해외 투자자들
19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도이치뱅크의 조지 사라벨로스는 지난 3개월 간 해외에 등록된 미국 주식 상장지수펀드(ETF)에 약 70억달러(약 9조7000억원)가 유입됐는데, 이 중 약 80%가 환헤지 ETF에 집중됐다고 밝혔다. 연초까지만 해도 이 비중은 20% 수준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미 ETF에서 환헤지 자금이 2020년 이후 처음으로 환노출 자금을 넘어섰다.
미 국채 역시 유입 자금의 절반가량이 환헤지가 적용됐다. 이에 미국 자산(주식·채권)에 들어온 해외 자금의 약 3분의 2는 환헤지가 적용됐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대형 해외 기관투자자들도 환헤지 전략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캐나다 온타리오교직원연금(OTPP)은 올 상반기에만 달러 노출 규모를 절반 이상 줄였으며, 덴마크 연기금은 6월 말 기준 달러 노출을 160억달러(약 22조3400억원) 축소했다.
네덜란드 연기금과 프랑스 자산운용사 엘레바 캐피탈 등은 연초부터 미국 자산에 대한 환헤지를 늘리기 시작해 달러 약세에 대비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가 이달 실시한 글로벌 펀드매니저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38%가 달러 약세에 대비해 헤지 포지션 확대를 고려한다고 답했다. 반면 달러 강세에 대비해 헤지를 고려하는 투자자는 2%에 그쳤다.
뉴욕증시 강세론 속 달러 약세 전망…환헤지 필요성 부각

▲트레이더(사진=UPI/연합)
이렇듯 해외 투자자들 사이에서 환헤지 전략이 주목받는 이유는 미국 자산에 대한 투자 열기가 식지 않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으로 달러 약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뉴욕증시 3대 지수는 18일(현지시간) 모두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누빈의 로라 쿠퍼 글로벌 투자 전략가는 “결과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후 위태로워 보였던 '미국 예외주의'가 달러 기피와 함께 되살아났다"고 평가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인공지능(AI) 투자 열풍 등은 증시에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해외 투자자의 실질 수익은 줄어든다. 예컨대 미국 주식 투자로 100달러의 수익을 올렸더라도 달러 가치가 10% 하락하면 환전 후 실제 수익도 10% 줄어든다. 이러한 잠재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헤지가 필수 전략으로 부상한 것이다.
실제로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올 들어 11% 가량 폭락했다. 하락폭은 대부분 지난 3~4월 발생했다. 유로화는 달러 대비 14% 가까이 오르며 4년 만에 초강세를 기록 중이다. 캐나다 퀘벡주 연기금(CDPQ)은 환헤지 전략을 통해 올 상반기 동안 달러 약세로 인한 손실을 상당 부분 상쇄했다고 블룸버그에 전했다.
흔들리는 美 달러, 환헤지 전략 이어질듯

▲지난 1년간 달러인덱스 추이(사진=네이버금융)
전문가들은 해외 투자자들의 달러 약세 전망 속 환헤지 확대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과거에는 특히 미국 주식 투자에 대한 환헤지는 보편적이지 않은 전략이었다. 위기 발생 시 안전자산인 달러에 매수세가 몰려 환헤지 효과가 약화될 수 있어서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등장으로 달러의 안전자산 위상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금이 달러의 대안으로 주목받은 것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된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전선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금리 인하 압박으로 연준의 독립성마저 흔들고 있다.
스탠다드은행의 스티븐 배로우 전략가는 “연준이 백악관 압박에 따라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면 미국 단기채와 주식은 주목할 만하지만, 달러는 피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과 대립하는 정부 기관과 기업들에게도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는 고용 통계가 부진하다는 이유로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부 노동통계국(BLS) 국장을 해고했고 뉴욕타임스(NYT)를 상대로 150억달러(약 21조원) 규모의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다.
또 이날에는 “방송사가 저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그들이 하는 게 트럼프를 공격하는 것뿐이라면 면허를 박탈하는 게 나을 것 같다"며 방송사에 대한 압박도 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로이터/연합)
30조달러(약 4경1800조원)가 넘는 미국 주식과 채권을 보유하는 해외 투자자들의 환헤지도 달러 약세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이들이 활용하는 가장 보편적인 환헤지 방식은 선물환을 통한 달러 매도로, 이는 현물시장에서 달러 매도 압박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꼽힌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나인티 원 자산운용의 사힐 마타니 이사는 “(헤지 비율의) 조정이 아직도 진행 중인 것 같다"며 이 과정에서 약 1조달러(약1400조원)가 매도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프랑스 엘레바 캐피탈의 스테파니 데오 선임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지난 4월 상호관세 발표 이후 “미국에 다시 투자했다"며 “현재로서는 달러 약세와 미국 증시 상승이 동시에 예상되므로 달러 헤지 포지션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로이터 역시 “투자자들은 달러에 약세 입장을 취하면서도 빅테크에 대해 강세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며 “이는 '탈(脫)달러화' 흐름이 통화 영역을 넘어 미국 자산 전반으로 확산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이런 흐름이 달라질 조짐도 크지 않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