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서울 종로구 네이버스퀘어 종로에서 열린 '네이버 커머스 밋업 위드(with) 컬리'에서 김슬아 컬리 대표이사가 발표하고 있다. 사진=조하니 기자
김슬아 컬리 대표가 컬리 출범 후 첫 외부 플랫폼으로의 진출을 계기로 기존 셀러들의 매출 확대는 물론, 대중성 확보 등 단점 극복에 나선다는 포부를 밝혔다.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네이버스퀘어 종로에서 열린 '네이버 커머스 밋업 위드(with) 컬리'에서 김 대표는 “4000만 유저를 확보한 네이버와의 파트너십으로 컬리는 기존에 도달하지 못한 새 고객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컬리와 네이버는 서로 다른 강점을 가진 회사다. 어떤 장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때 고객이 만족할 지에 대해 서로 고민 끝에 내놓은 것이 컬리N마트"라고 말했다.
컬리는 지난 4일부터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를 통해 '컬리N마트'를 운영 중이다. 온라인 장보기 수요를 겨냥해 네이버와 손잡고 선보이는 신규 서비스로, 올해 창립 10주년을 맞은 컬리가 외부 플랫폼에서 자사 상품을 판매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컬리N마트도 기존 컬리처럼 밤 11시 이전에 주문 시 다음 날 아침 샛별배송으로 상품을 전달해준다.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회원이라면 2만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혜택을 누릴 수 있다.
김 대표는 “엄선된 (상품)큐레이션을 좋은 가격에 빠르게 보낼 수 있냐가 유통의 핵심이지만, 고객들에게 너무 많은 선택지가 있다"면서 “컬리는 트렌디하지만 접근하기 어려운 서비스라는 이미지가 있지만 제휴를 통해 PB(자체 브랜드) 상품 등을 좋은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게 돼 좋다"고 말했다.
컬리와 컬리N마트 간 카니발라이제이션(자기잠식) 우려도 있었지만, 김 대표는 “네이버 고객군은 컬리보다 4인 가족 단위가 많고 브랜드 선호도도 다르다"며 “이들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컬리와의 차별화 지점을 고민했다"고 말했다.
컬리가 식품·뷰티 중심이라면 컬리N마트는 생활·주방용품 등 신규 카테고리를 포함해 5000여종의 상품을 폭넓게 선보인다. 특히, 대중적이고 친숙한 상품 등을 소개하면서 4인 이상 가구와 패밀리·대용량 사이즈를 원하는 고객 수요를 만족시키는데 집중했다.
김 대표는 “네이버와의 협업으로 빠르게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 물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컬리와 거래하는 파트너사들에게도 판매 확대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향후 컬리N마트와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간 인기상품 판매 연계, 검색과 개인화 추천 기술 고도화 등으로 핵심 장보기 서비스로 입지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