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수전략정비구역 조감도. 사진=연합뉴스
서울 성수전략정비구역 제1지구(성수1구역) 재개발 사업이 시공사 입찰 조건을 완화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GS건설의 단독 수의계약 가능성이 커졌다. 그러나 경쟁입찰 무산에 반발하는 조합원들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사업 지연과 추가 비용 부담 우려가 제기된다.
5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성수1구역 재개발 조합은 전날 오후 3시 대의원회를 열어 시공자 선정 계획서 변경안을 상정했다. 투표 끝에 안건은 부결됐다. 총 대의원 123명 중 115명이 참여했고, 71명이 반대표를 던졌다. 조합은 기존 입찰 지침을 유지하고 예정대로 입찰 절차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번 안건은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이 공정한 경쟁을 저해한다고 지적한 조항을 일부 완화하기 위해 일부 조합원들이 요구한 것이다. 논란이 된 조항에는 △조합원 혜택 제안 금지 △이주비 대출 조건 제한 △조합의 자의적 입찰 무효 권한 등이 포함됐다. 입찰보증금은 1000억원으로 책정돼 특정 시공사 밀어주기라는 지적도 나왔다.
당초 성수1구역은 GS건설, 현대건설, HDC현대산업개발 3파전이 예상됐다. 이들 업체가 입찰 참여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혔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은 지난달 29일 열린 현장설명회에도 불참하며 사실상 참여를 포기했다. 현대건설은 “부당한 지침을 준수하기 어렵다"며 “대의원회에서 조건이 완화돼 경쟁 입찰이 열리길 기대했으나 부결돼 참여가 어렵게 됐다"고 밝혔다.
현장설명회에는 GS건설, 대우건설 등 7개사가 참석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GS건설의 단독 입찰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 경우 경쟁 입찰은 무산되고, GS건설이 수의계약으로 시공사 지위를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조합 내부 반발 기류도 갈수록 거세다. 앞서 열린 대의원회 전 조합원 50여 명은 회의장 앞에서 집회를 열고 “조합 집행부가 특정 시공사에 유리한 지침을 유지하고 있다"며 조건 완화를 촉구했다.
성수1구역은 성수동 1가 일대 한강변에 위치한 전략정비구역이다. 이번 재개발을 통해 지하 4층~지상 최고 69층, 17개 동, 3014가구로 재탄생한다. 총 공사비만 2조1540억원에 달하며, 강북 재개발 최대어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결정으로 GS건설이 한발 앞서게 됐지만, 조합 내 갈등이 사업 추진의 최대 변수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