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1일 서울 시내 한 아파트 공사 현장 전경.
비상장 대형 건설사들이 올 상반기 아쉬운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SK에코플랜트만이 반도체 사업 등 신사업 부문이 호조를 보이면서 호실적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통해 국내 상위 10대 대형 건설사 중 주식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비상장 건설사 4곳(현대엔지니어링, 포스코이앤씨, 롯데건설, SK에코플랜트. 이상 올해 시평액 상위 순)의 반기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올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신장한 곳은 SK에코플랜트 한 곳 뿐인 것으로 확인됐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영업이익이 전년 상반기보다 증가했지만 매출이 작년 대비 빠졌고, 롯데건설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감소했다. 포스코이앤씨는 매출 감소와 함께 영업이익이 손실을 기록해 적자로 전환됐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올해 상반기 매출 6조7787억원을 거뒀다. 작년 같은 기간 매출 8조1576억원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매출액이 20.3% 감소했다. 이에 반해 올 상반기 영업이익은 2143억원으로 전년 동기(1392억원) 대비 53.9% 불어났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대형 사업장 공정이 일제히 완료되면서 올해 상반기에 매출 규모가 전년 대비 감소한 측면이 있다"며 “또한 작년 연말에 손실을 한꺼번에 털어내고 이를 회계상에 반영하면서 기저효과가 발생해 영업익이 반등하는 효과를 봤다"고 말했다.
포스코이앤씨는 비상장 대형 건설사 네 곳 가운데 가장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올 상반기 포스코이앤씨는 매출 3조6800억을 기록해 작년 상반기 매출액 5조402억원에서 36.9%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작년 상반기에 781억원을 거뒀지만 올핸 마이너스를 기록해 손실 669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포스코이앤씨 실적 부진은 해외 사업장에서 추가로 지출이 늘어나면서 영향으로 영업손실을 기록한 영향이 컸다. 구체적으로는 말레이시아 발전 플랜트 및 폴란드 소각로 프로젝트 손실이 회계상에 반영됐다.
롯데건설은 올 상반기 매출 3조7485억원을 거둬 작년(4조9억원) 대비 매출액이 소폭(-6.7%) 감소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09억원으로 작년 상반기(1112억원)에서 큰 폭(-58.2%)으로 감소했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작년 상반기 매출이 예년 대비 비교적 많이 나왔던 해로, 올해 상반기 매출 규모는 평년 수준"이라며 “재무구조 개선 효과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영업이익도 연간 대비로는 반등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비상장 대형 건설사들이 전반적으로 올 상반기 아쉬운 실적 성적표를 받은 가운데 홀로 웃은 SK에코플랜트는 반도체 등 신사업 부문에서 분전하면서 호실적을 냈다.
SK에코플랜트는 올 상반기 매출 5조7992억원을 기록해 작년 상반기(4조2670억원) 대비 매출액이 35.9% 뛰었다. 영업이익도 상반기 2096억원을 시현하면서 전년 1264억원에서 65.8% 신장하는 실적을 거뒀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매출액은 청주 M15X 프로젝트 및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1기 본격화 등 반도체 사업 성장에 따라 실적 성장세를 이뤘다"며 “영업이익은 반도체 종합 서비스 강화 차원에서 지난해 자회사로 편입한 반도체 모듈회사 에센코어와 산업용 가스 제조사 SK에어플러스의 호실적이 반영되면서 수익폭이 큰 폭으로 확대됐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