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이용일 세종시 기획조정실장이 브리핑을 통해 올해 두 번째 추가경정예산안(추경)으로 1,057억 원 규모를 편성해 지난 14일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사진=김은지 기자)
세종=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세종시가 올해 두 번째 추가경정예산안(추경)으로 1,057억 원 규모를 편성해 지난 14일 시의회에 제출했다. 시의회에서 원안대로 통과되면 올해 총예산은 2조 2,133억 원으로, 지난해 최종예산(2조 510억 원)보다 7.9%(1,623억 원) 증가한다.
18일 이용일 세종시 기획조정실장이 브리핑을 통해 이번 추경안을 발표했다. 그는 “민생경제 회복과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했다"며 “소비쿠폰과 지역화폐 확대를 통해 지역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말했다.
세입 재원은 국고보조금 793억 원, 지방세 117억 원, 세외수입 33억 원, 지방교부세 23억 원 등이다.
추경의 핵심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분 726억 원(국비 653억 원·시비 73억 원)이다. 여민전 캐시백 예산은 60억 원에서 91억 원으로 증액됐고, 충청권 정보보호 클러스터 구축사업(13억 원)도 포함됐다.
영유아 보육료 지원 72억 원, 기초 생계급여 21억 원 증액,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15억 원 등이 반영됐다. 난임부부 시술비 3억 원, 임신 사전건강관리 1억 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2억 원 등 저출생 대응 사업도 포함됐다.
도로·교통신호시설 유지보수에 9억 원이 증액됐고, 호려울·미르 지하차도에 자동차단 시스템 설치 예산 3억 6천만 원이 반영됐다. 읍면동 청사 운영비 2억 원, 사회복무요원 급여 3억 원, 공무원 명예퇴직 수당 2억 원도 포함됐다.
이번 추경안은 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를 거쳐 오는 9월 8일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