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주성

wn107@ekn.kr

박주성기자 기사모음




세종대, 초대형 개발 프로젝트 본격화…“AI 국가 전략산업·이공계 인재 양성”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05 11:44

세종대, 교육용 부지 개발 추진…교육·연구 공간 활용 목적
경기 성남·광주와 업무협약…반도체·융복합 클러스터 조성
창원엔 ‘해군·해병대·사이버안보 통합 국방기술 교육단지’도

세종대

▲경기도 광주시 항공우주연구소와 국방연구소 조감도. 사진=세종대학교

세종대학교가 경기 성남, 광주, 경남 창원 등 전국 주요 지역에 보유 중인 교육용 부지를 교육·연구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초대형 개발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경기 성남시 하대원동 일대 부지는 개발제한구역(GB), 환경평가 2등급, 광역녹지축 등 중첩 규제로 인해 오랫동안 실질적인 개발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세종대는 지난 2021년 경충대로(3번 국도)에서 부지로 진입할 수 있는 연결도로 공사를 완료한 데 이어, 지난해 12월 성남시와 '반도체(AI) 클러스터 조성'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세종대는 교육연구시설 개발을 위한 제도 개선과 규제 완화를 다방면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해당 부지를 교육용으로 활용하지 못한 기간에도 매년 성실히 재산세를 납부해 왔다.


경기 광주시 도척면에 위치한 부지는 국방, 항공우주, 첨단바이오 산업이 융합된 복합연구단지로 조성될 예정이다. 세종대는 광주시와 지난달 '융복합클러스터 조성' 업무협약을 맺고, 진입도로 계획 및 보상을 내년까지 완료한다는 목표로 진행 중이다.




세종대는 해당 부지 외의 부지(광주시·이천시 소재)는 교육부 허가(2022~2025년) 하에 매각을 진행 중이나 매수 대상자가 없어 매도에 난항을 겪고 있다.


매각이 완료되면 클러스터 개발 재원으로 투입할 계획이며 이 외 모든 미활용 부지에 대한 재산세 및 종합부동산세도 성실히 납부하고 있다고 세종대는 밝혔다.


또한 세종대는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부지가 구산해양관광단지로 지정되면서 토지보상 및 토지수용에 따른 잔여 교육용부지 진입을 위한 도로 개설 계획을 협의하고 있다.


해당 부지는 당초민간투자사업(로봇랜드)로 조성될 예정이었으나 수산자원보호구역 지정으로 계획이 진척되지 않았다. 이에 세종대는 지난 2011년 해군과 '군사학과 설치' 협약을 체결하고, 이듬해인 2012년 해군 국방시스템공학과를 개설해 현재까지 운영 중이다.


국내 대학 중 유일하게 육·해·공군 및 해병대 기술 장교 과정을 모두 운영 중이며, 첨단 국방기술을 접목한 이공계 고급 인재를 배출하고 있는 만큼, 세종대는 향후 해당 부지를 해군·해병대·사이버안보를 포함한 통합 국방기술 교육단지로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세종대 관계자는 “현행 법·행정적 규제로 인해 일부 부지의 교육용 활용이 지연되고 있으나 교육기관으로서의 책무를 다하고 있다"며 “규제 완화를 통해 교육·연구 공간 확보를 확대하고, 납부 중인 세금 부담을 줄여 확보된 자원을 다시 교육에 재투자하는 것이 합리적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세금 감면을 위한 회피가 아닌, 현실적인 교육환경 조성의 일환으로 장기적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행정·법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