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WC 2024' 내 SKT 부스 조감도
SK텔레콤(SKT)은 오는 26일(현지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4'에 참가한다고 18일 밝혔다.
통신 서비스와 네트워크 인프라 및 실생활 영역 등 인공지능(AI) 혁신 기반의 미래 기술을 선보이기 위함이다.
통신사 동맹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GTAA)'를 비롯해 빅테크들과의 초협력으로 AI 지형을 글로벌 무대로 확대하기 위한 행보도 가속화한다.
올해 MWC는 200여개국 2400여개사가 6G·사물인터넷(IoT)·로봇 등의 기술을 선보이는 무대로, 주제는 '미래가 먼저다'로 정해졌다.
SKT는 992㎡(약 300평) 규모의 전시공간을 꾸렸다. 핵심 키워드는 '텔코 거대언어모델(LLM)'이다.
이를 토대로 △챗봇이 구현된 버추얼 에이전트 △AI 기반 스팸·스미싱 필터링 시스템 △AI 콜센터(AICC) 등의 적용 사례를 소개한다.
AI 기반 실내외 유동인구 데이터 분석 시스템 '리트머스 플러스'와 로봇·보안·의료를 비롯한 분야에 적용되는 'AI 퀀텀 카메라' 기능 강화에 대한 구상도 밝힌다.
반려동물 AI 진단보조 서비스 '엑스칼리버'와 미디어 가공 및 콘텐츠 품질 향상 플랫폼 'AI 미디어 스튜디오' 및 비전 AI를 활용한 바이오 현미경 '인텔리전스 비전'도 볼 수 있다.
차세대 열관리 방식인 액침 냉각을 포함한 AI 데이터센터 기술과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및 가상 체험이 가능한 실물 크기의 도심항공교통(UAM) 등도 전시공간을 채운다.
유영상 SKT 사장은 현장에서 '글로벌 AI 컴퍼니'로 진화하기 위한 미래 전략을 알린다. 전 세계 파트너사와 협력도 추진한다.
SKT 관계자는 “시대의 화두인 AI를 지렛대 삼아 외연을 확장할 방침"이라며 “지난해 7월 공식 출범한 GTAA 관련 논의도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