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탈원전 폐기’ 尹 정부, 11차 전기본서 신규 원전 담을까…내달 윤곽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2.31 09:48
월성원전 1호기

▲월성원전 1호기.(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윤석열 정부가 ‘탈원전 폐기’를 선언하면서 원전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신규 원전 건설 방향이 이르면 내달 윤곽을 드러낸다.

3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수립 총괄위원회’가 이르면 내달 11차 전기본 핵심 내용을 담은 실무안을 수립해 발표하는 것을 목표로 논의를 진행 중이다. 위원회에는 전력 전문가와 정부 관계자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실무안에는 신규 원전 건설 여부, 2038년까지의 발전원별 구성비(믹스) 등 주요 내용이 담긴다.

정부는 2년마다 향후 15년에 걸쳐 적용될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한다. 장기 수급 전망을 바탕으로 발전 및 송·변전 설비를 어떻게 채워나갈지 구체적인 계획을 담는다.

2024∼2038년 적용될 11차 전기본 수립 과정에서 가장 주목받는 것은 신규 원전 포함 여부다.

11차 전기본에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들어가면 신한울 3·4호기 건설 계획이 반영된 2015년 7차 전기본 이후 9년 만에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담기게 된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신규 원전 도입 등으로 비용 효율적인 전원 믹스를 구성하는 합리적 전력 공급 능력 확충 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설명해 ‘신규 원전 건설’ 논의 본격화를 예고한 바 있다.

지난 7월부터 가동된 11차 전기본 수립 총괄위원회는 신규 원전 건설 여부를 포함한 구체적 논의를 막바지 단계에서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반도체·이차전지 등 첨단산업 신규 투자, 전기차 확산 등을 고려할 때 원전 추가 건설이 필요하다고 여긴다.

용인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의 예상 전력 수요만도 10GW(기가와트)로 현 수도권 전체 전력 수요의 4분의 1 수준이다.

전력거래소의 장기 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총수요 기준 최대전력은 2039년 150기가와트(GW)를 거쳐 2051년 202GW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윤석열 정부는 출범 이후 문재인 정부 시절 건설이 중단된 신한울 원전 3·4호기 건설을 재개한 바 있다. 3호기는 2032년, 4호기는 2033년 준공이 목표다.

현재 우리나라는 총 25기의 원전을 운영 중으로 설비용량은 총 24.65GW다. 2022년 기준으로 원전은 국내 발전량의 29.6%를 생산했다.

아울러 11차 전기본에서 장기 에너지 믹스 목표에 추가 변화가 있을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앞선 10차 전기본(2022∼2036년)에서는 2036년 전원 믹스를 ▲ 원전 34.6% ▲ 석탄 14.4% ▲ 액화천연가스(LNG) 9.3% ▲ 신재생 30.6% ▲ 수소·암모니아 7.1% ▲ 기타 4.0%로 정했다.

11차 전기본에서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잡힐 경우 2038년 전원 믹스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2036년의 34.6%보다 소폭 증가할 수 있다.

정부는 내달 중 실무안이 발표되면 관계부처 협의, 국회 보고 등을 거쳐 상반기 중으로 11차 전기본을 확정 짓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