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 3일 김포 서울 편입 논란과 관련해 김포공항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
김 지사는 이날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이 조사결과 자료를 인용, 이런 사실을 알리면서 경기도민이 원하지 않는 김포 서울 편입에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 |
▲사진제공=리얼미터 |
이런 사실은 경기도의 의뢰로 리얼미터가 지난 2일부터 5일까지 만 18세 이상 경기도민 300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결과이다.
특히 모든 계층에서 ‘반대한다’는 의견이 ‘찬성’ 보다 월등히 많았으며 의왕·파주·양주·화성·시흥·오산시, 20대·30대·40대·50대, 화이트칼라 등에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70%를 상회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서울 편입에 ‘찬성한다’는 응답 비율은 29.5%(매우 찬성 18.1%, 찬성하는 편 11.4%)로 조사됐으며 ‘잘 모르겠다’고 답한 비율은 4.2%였다.
![]() |
▲사진제공=리얼미터 |
40대(찬성 23.2% vs 반대 73.8%)와 50대(27.3% vs 70.8%), 30대(27.1% vs 70.2%), 만18~29세(23.7% vs 70.1%)에서는 반대 의견이 70%를 상회했다.
하지만 70세 이상에서는 찬성 의견이 42.4%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경기남부(찬성 29.5% vs 반대 65.9%)와 북부(29.5% vs 67.6%)를 기준으로 보면 전체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기초시군별로는 의왕시(73.5%), 파주시(73.3%), 양주시(73.0%), 화성시(72.5%)에서 반대 의견이 높았다.
찬성 의견은 최근 편입 지역으로 거론되는 광명시(47.4%), 구리시(41.5%), 하남시(38.5%), 김포시(36.3%) 등에서 타 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높게 집계됐다.
성별로는 남녀 큰 차이 없이 반대 의견이 높았고, 직업군별로 사무·기술직(75.4%)과 경영·관리·전문직(70.0%)에서 반대한다고 답한 비율이 다른 직업군에 비해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무선(70%)·유선(30%) 무작위 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했다. 응답률은 2.7%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8%포인트다.
![]() |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기자회견 모습 사진제공=경기도 |
앞서 김 지사는 지난 3일 김포 서울 편입 논란과 관련한 기자회견에서 "한마디로 서울 확장이고 지방 죽이기로 나라의 미래는 안중에도 없으며 오로지 김포시민을 표로만 보는 발상에서 비롯된 일"이라고 비판하고 "참 나쁜 정치다"라고 일갈했다.
김 지사는 이어 "이건 정책이 아니다. 김포와 서울을 연결하는 지도를 보면 세상에 이렇게 생긴 도시가 있나 싶다"면서 "그야말로 선거용 변종 게리맨더링으로 세계적 조롱거리가 될 것이고 또 실천 가능성이 거의 없어서 대국민 사기극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무엇보다 "윤석열 정부는 대한민국을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로 만들겠다고 쭉 해 왔다. 국힘이 김포시 서울 편입을 당론으로 정하고 특위까지 구성한 바로 그날 윤 대통령은 대전에서 지방자치와 지역균형발전의 날에 참석해서 그날도 지방시대를 주창했다"며 "참으로 코미디 같은 일이 아닐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김 지사는 그러면서 "지방시대를 주장하는 윤 대통령은 왜 아무 말도 없냐?"면서 "계속 침묵한다면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과 정부의 정책은 국민 사기극이었다고 하는 것을 스스로 자인하는 모양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9일 오후 경기도의회 본회의장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
한편 김 지사는 지난 9일 경기도의회에서 열린 제372회 정례회 3차 본회의 시정연설을 통해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김 지사는 또 "경기북부특별자치도는 바로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이라는 목표에 따라 추진하는 것"이라며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는 성장이 가로막혀 있던 경기북부에 대한 보상만이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의 성장을 위한 비전"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또한 "작년 7월 취임 이후 일관되게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추진해왔으며 지난 9월에는 정부에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위한 주민투표를 요청했다"며 "겹겹이 옭아매고 있는 규제를 풀고, 과감한 투자를 유치해 대한민국 성장을 위한 기회의 땅, 경기북부를 깨우겠다"고 단언했다.
경기=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sih31@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