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소진

sojin@ekn.kr

윤소진기자 기사모음




경총 "매출 50대 기업 58% 재택근무…축소·중단 늘어"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1.05 12:50
clip20231105124652

▲매출 50대 기업 재택근무 시행 현황. 자료=한국경영자총협회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매출 상위 50대 기업을 대상으로 재택근무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58.1%가 재택근무를 시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경총에 따르면 재택근무를 시행하고 있는 기업 중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를 시행한 적 있으나, 현재는 하지 않는 기업’이 38.7%, ‘지금까지 시행한 적 없다’라고 응답한 기업 3.2%로 전체 ‘재택근무 미시행’ 기업은 41.9%로 나타났다.

특히 ‘재택근무를 시행한 적 있으나, 현재는 하지 않는 기업’이 3분의1 이상(38.7%)이다. 경총은 지난해부터 이루어진 코로나19 방역정책 완화에 따라 재택근무를 중단한 기업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했다.

현재 재택근무를 시행 중인 기업들도 ‘필요 인원을 선별하거나 개별 신청’(61.9%)하는 방식을 가장 많이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과거에 비해 재택근무 대상을 축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교대 순환형’과 ‘부서별 자율 운영’방식이 각각 19%로 나타났다.

경총은 "코로나19로 인한 위기 상황이 종식되면서 전직원을 대상으로 교대로 시행하는 방식이 축소되고, 재택근무가 필요한 인원을 선별 또는 신청을 받아 필요에 따라 제한적으로 시행하는 방식이 주된 형태가 됐다"고 설명했다.

재택근무 축소 또는 중단 과정에서 근로자 반대 여부 관련 ‘반대가 거의 없었다’는 응답이 50% 였으나 ‘강한 반대가 있었다’는 응답 10% 등 반대가 있었다는 응답도 총 46.7%로 나타났다.

재택근무 희망 설문에서는 응답 기업 64.5%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으로 답했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코로나19로 크게 확산됐던 재택근무가 현저히 축소되면서, 이제 ‘방역과 업무 수행’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에서는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며 "재택근무가 대면근무를 대체하기 보다는 업종, 직무, 근로자 여건 등에 따라 선별적으로 채택되는 제도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sojin@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