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세계 3대 ESS 강국' 선포…산업부, ESS 산업발전전력 발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0.31 11:06

강경성 차관, ESS산업현장 LS일렉트릭 글로벌 R&D캠퍼스서 의지 천명



에너지저장장치 산업, 2036년까지 세계 시장 점유율 35% 달성" 목표

clip20231031162833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31일 경기도 안양에 위치한 LS일렉트릭 글로벌 연구개발(R&D) 캠퍼스를 방문, 현장 관계자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 이원희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세계 3대 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 강국으로 도약하겠다고 나섰다. 오는 2036년까지 세계 시장 점유율 35% 달성이 목표다.

ESS는 전력을 저장하고 꺼내 쓸 수 있는 장치다. 재생에너지 발전이 늘어나면서 ESS의 역할도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에 따르면 ESS는 흐린 날씨로 태양광 발전량이 줄어들면 저장한 전력을 꺼내 전력공급망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 산업부 전략에 따르며 2036년 세계 ESS 시장 점유율 35%를 목표로 미국·중국과 함께 세계 3대 ESS산업 강국으로 도약을 추진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2025년부터 해마다 저장용량 600메가와트(MW)의 ESS를 확보할 계획이다. 특히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많은 호남권에 저탄소중앙계약시장 등으로 2026년까지 저장용량 1400MW의 ESS를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0년까지 총 저장용량 3700MW의 ESS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산업부는 ESS 소재·부품·기기 등 공급망 확충, 인력양성, ESS산업발전협의회 운영 등을 통해 ESS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예정이다.

ESS 화재예방을 위해 ESS 화재안전성 검증센터 등을 적극 활용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2030년까지 필요 에너지 저장설비 총 3.7GW를 2025년부터 연간 600MW씩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특히 재생에너지의 과잉발전으로 계통 안정 확보가 시급한 호남권에 국내 ESS 시장의 투자 활성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세계 최고 기술력을 보유 중인 삼원계 리튬전지 초격차 경쟁력를 유지하고 리튬인산철(LFP) 전지 양산을 추진하는 한편, 향후 저비용·고안전·대용량화가 가능한 흐름전지, 나트륨황(NaS)전지, 압축공기저장, 열저장, 양수발전 등 장주기 기술 중심으로 스토리지 믹스를 확보하고 수출 및 해외진출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소재·부품·기기 등 공급망과 인증 인프라 확충, 인력양성, 에너지스토리지 산업발전협의회 운영 등을 통해 ESS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ESS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기 수립된 ESS 안전대책을 적극 이행하며, ESS 화재안전성 검증센터 등을 적극 활용해 나갈 예정이다

강 차관은 "계통안정을 위해 ESS 보급은 꼭 필요하다"며 "핵심 ESS 기술개발, 산업발전기반 조성, 화재대응 안전확보 등을 통해 ESS의 새로운 전략산업으로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경성 산업부 2차관은 31일 ESS 산업 현장인 경기도 안양에 위치한 LS일렉트릭 글로벌 연구개발(R&D) 캠퍼스를 31일 방문했다.

강 차관은 미국으로 수출하는 ESS 핵심 부품인 전력변환장치(PCS) 신제품 개발현장을 둘러봤다.

산업부는 이어 열린 ESS 산·학·연 간담회에서 ESS 산업 발전전략에 대한 발표했다.

wonhee454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