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준현

kjh123@ekn.kr

김준현기자 기사모음




"공급대란 오나"…1~9월까지 주택 착공 57%·인허가 33%↓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0.31 10:45

국토부, 주택통계 발표…9월 인·허가는 5개월 만에 상승



미분양 7개월 연속 감소…악성 미분양 소폭 증가

2023103101001648100082761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올해 들어 지난 9월까지 전국 주택 착공 물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 감소했다. 주택 인·허가는 33% 줄었고, 준공 역시 13%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9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25만5871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32.7% 감소했다.

수도권은 10만2095가구로 22.6% 줄었고, 지방에서는 15만3776가구로 38.1% 감소했다.

아파트 인·허가가 21만9858가구로 29.6%, 아파트 외 주택 인·허가는 3만6013가구로 47.0% 각각 줄었다.

9월 한 달간 서울 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140가구인데, 이는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86.4% 급감한 규모다.

다만 9월 한 달 기준 전국 주택 인·허가는 4만3114가구로 전월(5479가구)보다 686.9% 급증했다.

이로써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4개월 연속 감소했던 월간 주택 인·허가 물량은 5개월 만에 상승 전환해 회복 조짐을 보이기도 했다.

1∼9월 착공 물량은 12만5862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2% 줄었다. 수도권 착공은 6만250가구로 59.6%, 지방은 6만5612가구로 54.7% 감소했다.

전국 아파트 착공은 9만5226가구로 58.1%, 아파트 외 주택 착공은 3만636가구로 54.0% 줄었다.

또 같은 기간 전국에서 준공된 주택은 25만1417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2.5% 감소했다.

수도권은 13만4375가구로 14.3%, 지방은 11만7042가구로 10.4% 감소했다. 수도권의 경우 2019년 1∼9월 준공 물량이 21만2000가구 수준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4년 만에 8만가구가량 줄어든 것이다. 이로써 지난 8월에 이어 인·허가와 착공, 준공 누계 물량이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7개월 연속 감소세를 유지했다. 9월 말 기준 미분양 주택은 5만9806가구로 전월 대비 3.2%(2005가구) 줄었다. 수도권 미분양은 7672가구로 0.1% 감소했고, 지방은 5만2134가구로 3.7% 줄었다.

다만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전국적으로 전월보다 1.3% 증가한 9513가구를 기록했다.

올해 9월까지 누적 공동주택(30세대 이상) 분양은 전국 10만8710가구로 작년 동기보다 42.2% 줄었다. 수도권이 5만9488가구로 25.9%, 지방은 4만9222가구로 54.4% 감소했다. 서울 지역만 놓고 보면 올해 9월까지 공동주택 분양 물량이 1만3342가구를 기록해 전년 동기보다 191.3% 늘었다.

한편 지난 9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4만9448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6% 증가했다. 수도권이 2만2741건으로 80.4% 급증했고, 지방 역시 2만6707건으로 34.9% 늘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6396건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88.8% 증가했다. kjh123@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