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종환

axkjh@ekn.kr

김종환기자 기사모음




4대강 물관리종합계획 첫 수립…"10년 단위 물관리정책 이정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0.30 18:34
제5회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회의 주재하는 한화진 환경부 장관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30일 서울 영등포구 FKI 타워에서 열린 ‘제5회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에 참석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4대강 유역 물관리를 위한 10년 단위의 종합계획이 처음 수립된다. 이번 계획은 향후 10년간 추진될 유역 단위 물관리 정책의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한강, 낙동강, 영산강·섬진강 유역물관리위원회는 30일 오후 각각 본회의를 열어 각 강의 유역물관리종합계획(유역계획)을 의결했다. 금강유역물관리위는 31일 유역계획을 의결할 예정이다.

위원회는 유역 물관리에 대한 중요 사항을 심의·의결하기 위해 4대강 유역별로 설치됐다. 환경부 장관과 민간이 공동 위원장을 맡으며 정부기관·공공기관·민간위촉 전문가 등으로 구성됐다.

유역계획은 국가물관리기본계획과 부합하는지에 대한 심의를 거쳐 한강, 낙동강 및 영산강·섬진강, 금강 유역에 대한 종합 계획을 확정한다.

이번 유역계획은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서 제시한 비전 및 목표를 토대로 수립했으며 오는 2030년까지 유역 내 물 관리 여건의 변화 및 전망을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홍수·가뭄 등 물재해 대응 △지속가능한 물이용 체계 확립 △물환경의 보전·관리 △물산업 육성 및 유역 협치(거버넌스) 활성화 등 물관리 분야별 전략을 제시하고 세부 추진과제가 담겼다.

특히 △서울 광화문·강남역 대심도 빗물터널 설치 △포항 냉천 유역 상류 홍수조절용 댐 설치 △극한 가뭄 대비 대체 수자원 개발 △전남 주암-장흥댐 연계로 용수공급 안정화 등 물재해 예방을 위한 과제도 대폭 반영했다.

이와 함께 △인공지능(AI) 기반 홍수예보 체계 구축, △가상모형(디지털트윈) 기반 댐 방류 의사결정 시스템 △제방 안전 감시를 위한 실시간 계측(스마트센싱) 및 무인비행체(드론) 기반 하천관리 등 4차 산업 기술에 기반한 물관리 기술 도입 △초순수 생산기술 자립화 △수열에너지, 수상태양광 등 물관련 재생에너지 기술개발을 포함한 다양한 물산업 혁신 과제도 포함시켰다.

유역환경청과 관련 행정기관은 유역계획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유역별 세부 추진과제에 대한 이행계획을 150일 이내에 수립하고 계획의 이행실적을 연차별로 평가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유역의 물관리 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이번 유역계획을 기준으로 향후 지자체가 수립하는 물 분야 계획에 대한 부합성을 심의할 예정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기후위기로 인한 물재해가 빈발하는 상황에서 유역별 물관리 정책은 과학에 기반을 두고 국민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야 하며 이번 유역계획이 이러한 변화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axkj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