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LB생명과학 CI = 에너지경제DB |
[에너지경제신문 양성모 기자] 물적분할을 공시한 HLB(에이치엘비)생명과학 주가가 상승하며 지난 7월 이후 장중 1만원 벽을 뚫었다. 에너지 사업부를 따로 분리하고, 바이오산업에 집중한다는 전략이 시장에서는 호재가 된 모습이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닥 시장에서 HLB생명과학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4.28%(410원) 오른 998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주가는 오전 10시 43분 기준 주가가 1만710원까지 오르는 등 강세를 나타내왔다. 하지만 오후 들어 차익매도 물량이 유입되면서 주가는 9000원 후반에서 거래가 마무리됐다.
이날 주가 상승은 전날 HLB생명과학이 에너지사업부를 물적분할 한다고 공시한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회사 측은 공시를 통해 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 관련 제품 제조 상장법인인 HLB생명과학 주식회사(상장사)와 에너지를 담당하는 에이치엘비솔루션(비상장사)으로 분할한다고 밝혔다. 이번 분할은 10월 27일 주주총회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며 분할기일은 내년 1월 1일이다.
앞서 HLB생명과학은 지난 4월 업종을 기존 ‘건축 기술, 엔지니어링 및 기타 과학기술 서비스업’에서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으로 변경하면서 완전한 바이오 기업으로 전환하기도 했다.
회사 측은 "분할 후 분할 회사와 분할 신설회사는 각 사업 부문에 집중함으로써 사업 특성에 맞는 신속하고 전문적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권한과 책임을 명확히 해 책임 경영체제를 확립하고, 전문화된 사업역량을 강화해 사업의 고도화를 실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통상 물적분할 이슈는 시장에서 악재로 받아들여지곤 한다. 지난 2022년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이 분할한 사례에서와 같이 알짜 자회사를 따로 떼어내 재상장을 추진할 경우 주가 하락으로 인한 기존 주주들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6월 말 기준 HLB생명과학의 신재생에너지(태양광 및 지열) 부문 매출액은 9억700만원으로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72%에 불과하다. 비주력사업인 만큼, 오히려 분할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앞서 HLB생명과학 주식 19.34%를 보유하며 최대 주주인 HLB도 물적분할 효과를 톡톡히 누린 바 있다. HLB는 지난 2월 20일 적자인 선박 사업을 맡고 있는 ENG사업부문을 물적분할 한 뒤 비상장법인인 ‘HLB ENG’로 분할해 신설한 바 있다. 이에 공시일 당일 HLB 주가는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강세를 보이기도 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HLB그룹의 모태는 구명정과 특수선박 등을 제조하는 것으로 시작해 현재는 바이오 사업을 메인으로 집중 육성 중"이라며 "진양곤 회장이 바이오 사업 육성에 대한 의지가 높다. HLB 그룹 내 다양한 바이오 계열사가 있으나 각자 바이오 외에 타 사업을 영위중에 있어 이를 일원화 해 바이오 산업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paperkiller@ekn.kr